메타버스 산업화 전망...글로벌 투자액 '22년 134조원
X 기자
xx@metax.kr | 2025-02-22 07:14:30
콘텐츠·네트워크·유통·소비 등 인프라 구축됐나?
고객이 즐기고 선택가능한 콘텐츠가 마련되고 있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구축됐나?
고객이 새로운 포맷과 경험을 받아들일 준비됐나?
다음은 Deloitte Insights에서 발행한 2022 No. 23 '기회의 땅 메타버스로의 초대'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해당 보고서는 Deloitte Insights(https://www2.deloitte.com/)에서 자료를 다운받아 확인할 수 있다. |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다양한 기관의 예측과 산업 보고서 등에서 이견이 없이 급격한 성장을 예측하고 있다.
글로벌 테크 리더들도 메타버스 산업의 잠재력을 확신하고25 대규모 자본 투자를 결정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26 뿐만 아니라 벤처캐피탈, 사모펀드들 사이에서도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은 뜨겁고, 지속적인 투자가 일어나고 있다.
이 결과로 전세계 메타버스로의 총 투자액은 ‘20년에 약 290억 달러, ‘21년에 약 570억 달러, ‘22년 약 1,005억 달러로, 그 투자액은 매년 2배 이상의 증가했다.
이와 같은 투자에 힘입어 메타버스 산업이 정상 궤도에 올라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앞에서 언급한 바 메타버스 산업은 다양한 기업들의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 생태계 형성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메타버스의 산업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심할 바 없지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검증과 증거(또는 징후) 확인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메타버스가 산업화에 이르는 필수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며, 위의 질문에 ‘그렇다’ 라고 답할 수 있는 증거(또는 징후) 제시가 필요하다.
먼저 인프라와 관련해서는, VR/AR 헤드셋이 고도화되고 급속도로 확산 중에 있다. 특히 애플은 요소기술에 대한 다수의 M&A 실행으로 애플 AR/VR 기기를 개발했고, ‘23년에 AR 글래스를 출시 예정이다.
둘째, 콘텐츠의 다양성에 관한 것으로, 가상 콘텐츠의 제작과 유통 플랫폼의 등장을 확인할 수 있다. SM 엔터테인먼트에서 AI 아바타를 포함한 가상 아이돌 그룹이 데뷔했고, 어메이즈브이알(AmazeVR)사가 등장해 넷플릭스향 VR콘텐츠 제작 및 유통 플랫폼을 담당하고 있다.
셋째, 수익모델 발굴에 관한 것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은 독자적인 경제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다. 블록체인과 NFT에 기반한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객의 수용도에 대해서, 이미 M-World에서 전세계적으로 3억명의 사용자가 활동 중이고, 국내에서도 네이버의 제페토는 10대들의 SNS로 관심이 높다.
특히 Z세대들이 게임 콘텐츠를 중심으로 메타버스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이 메타버스의 산업화 징후는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필수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 산업을 조성하는 기술 인프라, 즉 하드웨어(XR기술), 메타버스 플랫폼과 콘텐츠(M-World) 그리고 수익 창출을 지원하는 기술(Virtual Asset) 인프라의 발전에 힘입어,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