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메타버스 in CES 2025
정수연
jsy020224@naver.com | 2025-02-16 18:31:19
[MetaX 라스베이거스 = 정수연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5'는 메타버스와 가상현실(VR)이 단순한 미래 기술이 아닌, 현재를 변화시키는 핵심 요소임을 확인시킨 자리였다. 올해 전시회에서는 메타버스를 둘러싼 다양한 기술이 주목받으며,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기 위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이 공개됐다. 메타버스는 더 이상 게임과 엔터테인먼트에 국한되지 않고, 교육, 의료, 접근성 기술, 산업 디자인 등 여러 분야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다.
이번 CES 2025에서는 캐나다와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의 기업들이 선보인 기술들이 특히 관심을 끌었다. 햅틱 기술을 통해 현실감을 극대화한 소형 기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터, 헤드셋 없는 XR 플랫폼 등 메타버스 환경을 개선하고 확장할 제품들이 눈에 띄었다.
CES 2025는 메타버스와 VR 기술이 단순히 현실의 확장이 아니라, 다양한 산업과 사회 전반에서 새로운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 메타버스의 촉각 경험을 재정의하다: 캐나다 Haply Robotics의 ‘Miniverse’
캐나다의 스타트업 Haply Robotics는 CES 2025에서 소형 햅틱 장치 ‘Miniverse’를 선보이며 최고혁신상을 수상했다. 이 장치는 3D 및 2D 애플리케이션에서 정밀한 제어와 현실감 있는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혁신적 입력 장치이다. 사용자 맞춤형 핸들 부착물을 통해 디자이너, 게이머, 아티스트 등 다양한 분야의 사용자가 가상 환경을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햅틱 피드백 기술로 디지털 환경에서 질감, 무게, 저항을 실제처럼 느낄 수 있으며, Blender 등 주요 3D 소프트웨어와 호환된다.
이 제품의 또 다른 강점은 교체 가능한 핸들 ‘VerseGrip’이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핸들을 교체하거나 맞춤화해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VerseGrip’은 Inverse3 장치에 방향 추적 기능을 추가하는 모듈식 핸들 액세서리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정밀한 3D 내비게이션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고속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최대 1kHz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10~12시간의 배터리 수명과 USB-C 충전 포트를 갖추고 있다. 또한, 두 개의 사용자 입력 버튼과 보정 버튼, 상태 표시 LED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시각장애인을 위한 메타버스 솔루션: 원콤의 ‘FINTIN V1’ 혁신 스토리
한국의 원콤(Onecom)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소형 커뮤니케이터 ‘FINTIN V1’으로 주목받았다. 원콤의 시각 장애인용 미니 쿼티 커뮤니케이터 ‘FINTIN V1’은 세계 최초로 스트럭쳐드 미니 쿼티(Structured Mini QWERTY) 기술을 적용하여, 6개의 키로 36개의 키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각적 확인 없이도 손가락 감각만으로 타이핑하는 블라인드 타이핑(Blind Typing)이 가능하며, 표준 쿼티 배열을 그대로 적용하여 학습이 용이하다. 또한, 다양한 언어와의 호환성을 갖추고 있어 글로벌 사용자들에게도 유용하다. 이러한 기술은 바탕으로 원콤은 CES 2024에서 최고혁신상을 수상하며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원콤은 이번 CES 2025에서도 메타버스 및 VR, XR 응용을 위한 새로운 IP 라이선스 모델을 제시하며 지속적인 기술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FINTIN V1’은 메타버스 환경에서도 장애인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받는다. 원콤은 올해 3월 미국에서 열리는 장애인 보조기기 전시회 CSUN AT Conference 24에 참가해 다양한 글로벌 기업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계획이다. 특히 메타버스와 스마트 모빌리티 컨트롤러로의 응용 가능성을 강조하며 협업 제안이 이어지고 있다.
◆ 헤드셋 없는 XR 플랫폼: NEWJAK의 ‘X-RUNNER’로 확장현실의 경계를 허물다
CES 2025에서 한국 기업 NEWJAK은 독자적인 XR 플랫폼 ‘X-RUNNER’를 선보이며 콘텐츠&게임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NEWJAK의 ‘X-RUNNER’는 헤드셋 없이도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혁신적인 확장현실(XR)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방향 재조정 걷기(RDW) 기술과 CAVE 텔레프레즌스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 없이도 가상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몰입감 있는 메타버스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실내외 어디에서나 설치가 가능해 건설, 방위산업,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X-RUNNER’는 특히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뿐 아니라 가상 회의, 원격 협업 등 실용적인 메타버스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성을 보여줬다. NEWJAK은 이번 혁신상 수상을 계기로 글로벌 XR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며, 다국적 기업과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 롯데이노베이트 ‘칼리버스’와 메타버스 전시 주목
CES 2025에서 롯데이노베이트가 선보인 초실감형 메타버스 플랫폼 ‘칼리버스(Calybus)’가 큰 주목을 받았다. 이번 전시에서 칼리버스는 기존의 커뮤니티나 게임 중심의 메타버스를 넘어, 현실과 디지털이 상호작용하는 독자적인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차원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력을 선보였다.
약 250평 규모로 꾸며진 롯데이노베이트의 부스는 다양한 체험 공간으로 구성되어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주요 체험 공간으로는 K팝과 EDM 공연을 가상에서 관람할 수 있는 ‘VR존’, 온오프라인 연계 쇼핑과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PC존’, 가상 콘서트를 몰입감 있게 체험할 수 있는 ‘3D시어터존’ 등이 있다. 또한, 모바일 스캔으로 실물 오브젝트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AI스캔존’과 그린스크린 기술을 활용해 움직이는 사람을 실시간으로 디지털 공간에 융합하는 ‘3D라이브존’은 기술의 진보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으로 주목받았다. 이외에도 전기차 충전 플랫폼을 선보이는 ‘모빌리티존’까지 포함되어, 칼리버스의 기술적 확장성을 다각도로 보여주었다.
특히, 칼리버스는 실사 융합기술과 높은 자유도를 강조하며 현실감을 극대화한 콘텐츠를 선보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현실 모습 그대로 메타버스 내에서 교류할 수 있는 기능은 기존 메타버스의 한계를 넘는 혁신으로 평가받았다. 이 같은 기술력은 글로벌 관람객과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찬사를 받으며, 메타버스가 단순한 가상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와 라이프스타일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번 CES에서 칼리버스가 보여준 확장된 세계관과 기술력은 롯데이노베이트의 글로벌 도약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로 자리매김했다.
CES 2025는 메타버스 기술이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미래 사회의 필수 기술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줬다. 촉각 기술, 접근성 향상 기기, 확장현실 플랫폼 등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이 이번 전시에서 소개됐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활약은 기술과 혁신의 결합이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낼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줬다.
◆ 시사점, 메타버스 산업의 미래
CES 2025는 메타버스가 단순히 가상현실의 확장을 넘어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변화의 축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줬다. 전시된 기술과 솔루션은 메타버스가 기존의 게임과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교육, 의료, 제조, 접근성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혁신을 이끌고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캐나다 Haply Robotics의 촉각 피드백 기술과 한국 원콤의 시각장애인용 커뮤니케이터, NEWJAK의 헤드셋 없는 XR 플랫폼은 기술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례들은 메타버스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메타버스의 미래는 기술의 확장성과 글로벌 협력에 달려 있다. 롯데이노베이트의 칼리버스처럼 온오프라인 융합 플랫폼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내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앞으로 메타버스는 기술적 발전뿐만 아니라 데이터 보안과 접근성 같은 사회적 이슈를 함께 해결하며 더 넓은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것으로 전망된다.
◆ 관련 논문
<메타버스 관련 산업 동향과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정원(2023)>
자료요약: 본 연구는 메타버스 산업의 동향과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메타버스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과 콘텐츠 사업을 하는 중소기업 규모의 프로그래머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국내 메타버스 산업의 관점과 발전 방향을 논하고 있다.
자료링크: 링크
[ⓒ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