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신경쟁 구도와 미래 전략

현대원 칼럼니스트

dhyun12@gmail.com | 2025-02-16 16:40:17

[현대원의 미래지도]
애플과 메타의 경쟁 구도
메타버스 전문 교육과 대기업의 NFT 전략
미래를 준비하는 메타버스 활용 방안

목차
1. 메타버스 신(新) 경쟁 구도와 전망
2. 메타버스 전문대학원과 미국의 혁신
3. 대기업의 NFT 대중화와 메타버스 투자 전략
4. 메타버스와 원격 근무의 미래
5. 메타버스의 미래와 준비 필요성

메타버스는 우리의 삶과 비즈니스 환경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메타버스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며, 글로벌 기업들의 전략과 교육 혁신까지 다루는 ‘메타버스 위클리 시즌 2’의 첫 에피소드를 통해, 우리는 메타버스의 비전과 준비 방안을 탐구해본다.

1. 메타버스 신(新) 경쟁 구도와 전망

‘메타버스 위클리 시즌 2’는 매주 전 세계 메타버스 동향을 정리하며 기술, 비즈니스 전략, 법적 이슈를 다룰 예정이다. 메타버스 산업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페이스북 창립자 마크 저커버그가 메타의 최대 경쟁 상대로 애플을 지목한 것이다.

저커버그는 애플의 생태계와 UI/UX 기술력이 메타버스에서도 강력한 경쟁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은 각자의 플랫폼을 어떻게 발전시킬지에 따라 메타버스 시장의 판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2. 메타버스 전문대학원과 미국의 혁신

서강대학교는 국내 최초로 메타버스 전문대학원을 설립하며 고급 인재 양성에 나섰다. 미국에서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이 '비즈니스 인 더 메타버스' 과정을 출시했다.

맥킨지는 메타버스를 회사 운영에 통합하는 데 어려움으로 투자 수익의 불확실성과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의 부재를 꼽았다. 서강대학교는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며 대한민국의 메타버스 교육과 인재 양성에서 앞서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3. 대기업의 NFT 대중화와 메타버스 투자 전략

가상화폐와 NFT 시장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대기업들은 NFT 대중화와 메타버스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T는 NFT 거래 플랫폼에 PASS 인증을 도입해 간편 가입과 원화 거래를 지원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 TV에 NFT 플랫폼을 탑재하고, 갤럭시 폴드와 같은 기기를 통해 NFT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카카오는 그라운드X를 통해 NFT 동맹 그리드를 구축하며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와 LG전자 같은 빅테크 기업들은 AR/VR 콘텐츠 제작 툴과 홀로그램 기술 등 메타버스 관련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4. 메타버스와 원격 근무의 미래

코로나 이후 원격 근무가 일반화되면서 메타버스는 새로운 근무 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애플은 주 3일 출근 제도를 요구했지만, 직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반면, 직방은 메타버스 오피스 ‘썸 아아’를 도입해 수천 명의 직원이 가상 공간에서 협업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변화는 출퇴근 스트레스를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메타버스는 사무실과 원격 근무 환경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근무 방식을 제공하며, 기업들이 보다 유연하게 업무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5. 메타버스의 미래와 준비 필요성

메타버스는 단순한 기술 트렌드가 아니라, 삶과 일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메타버스를 활용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메타버스 위클리’ 시즌 2는 메타버스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하며, 다음 주에도 흥미로운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기술과 사회적 변화의 교차점에 선 메타버스가 우리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기대해본다.

[ⓒ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