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I 기반 엑스레이 보조 진단 서비스
2. SK AI 미디어 기술과 글로벌 서비스
이 영상은 CES 2025에서 소개된 SK텔레콤의 AI 기반 서비스들을 소개합니다. 엑스칼리버는 AI 기반 엑스레이 보조 진단 서비스로, 동물병원에서 15초 이내에 AI 진단을 제공하여 수의사들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진단을 돕습니다. AI 미디어 스튜디오는 AI 미디어 기술과 한국 AI 스타트업의 기술을 결합하여 콘텐츠 현지화를 지원합니다. 자막/더빙, 음원 분리, 가상 광고 삽입(VPP) 기술을 통해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서비스들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궁극적으로 AI 기술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진단 과정의 혁신을 꾀하고 있습니다.
1. AI 기반 엑스레이 보조 진단 서비스
엑스칼리버는 AI 기반의 엑스레이 보조 진단 서비스로, 동물병원에서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엑스레이 판독 시간을 15초 이내로 단축시켜 수의사에게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제공한다. 국내에는 약 3,500개의 동물병원이 있으며, 엑스레이 이미지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하면 즉시 분석 결과를 받는 시스템이다.
2. SK AI 미디어 기술과 글로벌 서비스
SK의 AI 미디어 스튜디오는 한국 기업의 기술과 AI 스타트업 기술을 결합한 플랫폼이다.[2-2]
콘텐츠 현지화는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에 필수적이며, AI를 통해 자막과 더빙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운드스트 기술을 활용하면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며, 배경 음악을 제거하고 화자의 목소리만 추출할 수 있다. 버추얼 프로덕트 플레이스먼트(VPP) 기술은 촬영 후 AI를 사용해 제품 배치를 가능하게 하여, 각국에 맞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AI 미디어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새로운 유즈 케이스를 통해 기존의 복잡한 작업을 대체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SK AI 미디어 기술 소개
SK 텔레콤의 AI 미디어 기술과 한국 기업 카스의 기술이 결합된 플랫폼이다.
콘텐츠 현지화의 중요성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에서는 콘텐츠 현재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I 미디어 스튜디오를 통해 콘텐츠 현지화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AI 기술을 통한 콘텐츠 현지화
글로벌 콘텐츠에서 자막과 더빙은 국가마다 다르기 때문에, AI 기술을 통해 나라에 맞는 번역된 자막과 더빙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에 포함된 배경 음악에 대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운드 스트 기술을 사용하여 배경 음악을 제거하고 배우나 화자의 목소리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VPP(버추얼 프로덕트 플레이스먼트) 기술
VPP는 버추얼 프로덕트 플레이스먼트 기술로, 기존 PPL(간접 광고)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존의 간접 광고는 촬영 시 제품을 배치해야 하지만, VPP는 촬영 후 AI 기술을 활용하여 제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기술은 각 나라에 맞는 광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AI 미디어 기술과 플랫폼의 발전
AI 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 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인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새로운 유즈 케이스가 발생할 때마다 AI 미디어 기술을 지속적으로 접목시키고 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시간과 비용 절감을 이루려는 의도가 있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