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eb3와 DePIN: 클라우드의 탈중앙화
Web3의 부상과 데이터 주권의 변화
Web3는 기존 Web2.0의 중앙 집중적 구조에서 탈피하여 데이터 소유권과 네트워크 운영의 탈중앙화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Web2.0 시대의 인터넷은 대형 플랫폼 기업들이 데이터를 독점하는 구조를 형성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지 못한 채 서비스를 이용해야 했다. 그러나 Web3는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형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데이터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변화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Web3 기반의 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DePIN, 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는 IoT와 클라우드 인프라의 발전을 기반으로, 인프라의 중앙화를 탈피하고 개별 참여자가 물리적 리소스를 공유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중앙화된 클라우드 모델이 대형 IT 기업의 통제하에 운영되는 것과 달리, DePIN은 커뮤니티 중심의 분산형 인프라를 구축하여 보다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데이터 경제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Filecoin과 같은 프로젝트는 분산형 저장 솔루션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중앙화된 데이터 센터가 아닌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분산 저장하는 방식을 구현하고 있다. Aethir는 탈중앙화된 GPU 인프라를 구축하여 AI 및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대안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AWS와 같은 중앙화된 클라우드 서비스의 대안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가 되고 있다.
DePIN의 개념과 새로운 패러다임
DePIN은 Web3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 토큰 경제를 활용하여 커뮤니티 주도로 물리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모델이다. 이는 기존의 중앙 집중형 인프라 네트워크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이며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물리적 인프라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DePIN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뉘는데, 물리적 자원 네트워크(PRN)와 디지털 자원 네트워크(DRN)로 구성된다. PRN은 무선 네트워크, 모빌리티, 에너지와 같은 비대체성 자원을 제공하는 반면, DRN은 컴퓨팅 파워, 스토리지, 네트워크 대역폭과 같은 디지털 자원을 관리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DePIN은 전통적인 인프라 구축 방식과 비교하여 더욱 개방적이고 확장 가능한 생태계를 제공한다.
현재 DePIN은 하이브리드 모델을 채택하여 일부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여전히 중앙 집중형 클라우드 플랫폼이 일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참여자들이 인센티브를 받으며 네트워크를 구축하지만, 데이터 분석 및 관리 등의 주요 기능은 기존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래의 DePIN은 완전한 탈중앙화를 목표로 하며, 커뮤니티가 자체적으로 인프라를 소유하고 운영하는 모델로 진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가치 사슬 전반에서 더욱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경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모듈형 DePIN 인프라: 탈중앙화를 위한 구조적 접근
DePIN(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확장되기 위해서는 보다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인프라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모듈형 DePIN 인프라(Modular DePIN Infrastructure) 개념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DePIN 인프라를 다양한 기능별 요소로 구분하여 모듈화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적 접근은 개발자들이 필요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맞춤형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게 한다.
모듈형 DePIN 인프라는 총 아홉 개의 핵심 모듈로 구성되며, 각 모듈은 특정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DePIN 애플리케이션의 원활한 작동을 지원한다. 이러한 모듈형 접근 방식은 DePIN 프로젝트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스타트업 및 개발자들이 보다 쉽게 분산형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하드웨어 추상화(Hardware Abstraction) 모듈
하드웨어 추상화 모듈은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경량화된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제공한다.
연결성(Connectivity) 모듈
연결성 모듈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네트워크 내 다른 모듈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와 시퀀서 모듈 간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장해야 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 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 확장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시퀀서(Sequencer) 모듈
시퀀서 모듈은 네트워크에서 전달된 데이터 패킷을 인증하고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며, 정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가용성 모듈(Data Availability Module)’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트랜잭션 처리 방식과 유사하게 이루어지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데이터 가용성(Data Availability) 모듈
데이터 가용성 모듈은 네트워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일정 기간 동안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젝트 설정에 따라 온체인 및 오프체인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저장 기간이 만료되면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장기 스토리지(Long-Term Storage) 모듈로 이전할 수 있다.
장기 스토리지(Long-Term Storage) 모듈
장기 스토리지 모듈은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API를 통해 검색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저장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기반 주소 방식(Content-Addressable Storage)과 불변성 해시값(Immutable Hash) 방식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존성을 보장한다.
오프체인 컴퓨팅(Off-Chain Computing) 모듈
오프체인 컴퓨팅 모듈은 CPU, GPU, FPGA 등의 컴퓨팅 리소스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프로젝트별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모듈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처리 속도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s) 및 TEE(신뢰할 수 있는 실행 환경) 기반 검증 시스템을 활용하여 연산 결과의 무결성을 보장한다.
블록체인(Blockchain) 모듈
블록체인 모듈은 DePIN 애플리케이션의 신뢰 기반(anchor) 역할을 하며, 신원 관리, 디바이스 인증, 데이터 검증 및 암호화 자산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오프체인 연산 결과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토큰 보상을 배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신원 관리(Identity) 모듈
신원 관리 모듈은 온체인 및 오프체인 신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탈중앙화 신원(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 및 서버 간의 신뢰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내 모든 참여자의 신원이 검증되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거버넌스(Governance) 모듈
거버넌스 모듈은 DePIN 네트워크의 정책을 설정하고,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뮤니티 투표를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주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며, 토큰 기반 거버넌스를 통해 탈중앙화된 의사결정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며,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 기반의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모듈형 DePIN 인프라는 기존의 중앙 집중식 클라우드 인프라와 차별화되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탈중앙화 모델을 제공한다. 개별 모듈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DePIN 프로젝트의 기술적 진입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확장을 용이하게 만든다.물리
이러한 구조는 특히 스타트업 및 개별 개발자들이 DePIN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 모듈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프로젝트마다 맞춤형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며, 향후 DePIN의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