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워지는 지구를 구할 기술, 기후테크 (Climate Tech)

김재필

metax@metax.kr | 2025-02-16 13:22:17

점점 피해가 커지고 있는 기후 재난

세계 기상 재해 건수는 지난 50년간 5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변화로 인해 기상 이변은 앞으로 한층 더 심각해질 전망이다. 가뭄과 홍수 등으로 총 200만 명 이상이 사망했고 3조 6000억 달러(약 4천221조원)의 경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명 피해가 가장 큰 재해는 65만 명이 숨진 가뭄이었으며, 다음으로 폭풍우(약 58만 명), 홍수(약 5만9천 명), 극한 기온(약 5만6천 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폭우, 허리케인, 토네이도, 산불이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아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난 결과다. 기상이변이 초래한 재앙을 피할 수 있는 시간은 남아 있지 않다는 경고가 예사롭지 않다.

전세계의 이상기후 현상은 매년 그 정도와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2022년에는 기후 변화가 더욱 극심했다. 예일대 기후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 7월 한 달 새 독일, 벨기에를 비롯한 서유럽 지역에 ‘100년 만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240명이 사망하고 최소 25억 달러의 재산상 피해가 발생했다. 7월 평균기온이 20~25도 사이로 에어컨을 켜지 않아도 됐던 영국 런던은 2022년 7월에 40도를 넘는 더위에 사상 처음 '국가비상사태'에 해당하는 4단계 적색 경보를 발동하였다. 중국에서는 6월과 7월 홍수 피해 규모가 250억 달러에 달하고 325명이 사망했다. 인도에서도 7월 내내 이어진 몬순 홍수로 사망자 534명, 16억 달러의 재산상 피해가 발생했다. 파키스탄은 2022년 6월 중순부터 시작된 비로 국토의 3분의 1이 물에 잠기고 1700여명이 숨졌다.

미국 캘리포니아 사우스 레이크 타호까지 번진 산불 ‘칼도’, 그리스 전역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한 산불 등으로 주민 전체가 대피하는 일도 발생했다. 유럽산불정보시스템(EFFIS)에 따르면 2022년에만 그리스 면적 가운데 11만 헥타르가 불에 탔다. 2008~2020년 연간 평균보다 5배 이상 많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하면서 극단적 기상현상이 이변이 아니라 이제 일상이 돼 가고 있다. ‘기후위기’를 넘어 '기후재앙'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다.

대홍수 사태를 겪은 뉴욕 주지사 캐시 호컬은 “불행하게도 기후변화로 이런 일을 정기적으로 겪어야 한다”고 우려했고, IPCC도 “위험한 기후변화를 피할 시간은 0년”이라고 시급성을 강조했다.

기회의 창이 닫히고 있다

2022년 10월에 유엔환경계획(UNEP)가 발간한 '2022년 (온실가스) 배출 갭 보고서(Emissions Gap Report)’를 보면 ‘The Closing Window – Climate crisis calls for rapid transformation of societies, 기회의 창이 닫히고 있는 상황에서 기후위기는 급격한 사회적 전환을 요구한다’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보고서는 세계 각국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약속한 것과 2015년 파리 기후변화 협정에서 제시된 기온상승 억제 목표를 맞추기 위해 전체적으로 감축해야 할 배출량 사이의 차이(갭)를 언급하였다. 2021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각국이 갱신한 약속은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1%도 채 안 되는 분량을 줄이는 것으로, 파리협정에서 채택된 목표대로 지구 온난화를 1.5도로 제한하려면 온실가스 감축분이 45%는 돼야 한다. UNEP는 세계 각국이 다짐한 기후변화 대응 수준대로라면 세기말까지 섭씨 2.4∼2.6도가 오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UNEP는 전력 공급, 산업, 수송, 건축 분야와 식량 및 금융 시스템을 기후 변화에 맞게 획기적으로 탈바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경제를 개혁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거의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불가능할지라도, 설령 2030년까지 목표하는 바를 달성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1.5도에 최대한 근사치적으로 접근하는 노력이라도 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한다.

전력공급의 경우 재생 에너지로의 변화를 가속하되 재생 에너지로 옮겨가면서 실업 대책 및 직업교육 등을 수반한 '공정한 전환'과 보편적 에너지 접근을 위한 수단을 같이 강구해야 한다. 식량 시스템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초점이 되는 부문인 만큼 식량 공급망의 탈탄소화 등을 위해 추진해야 한다. 또 정부는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보조금과 세금을 개혁하고 민간 분야는 식량 손실과 낭비를 줄이며 개별 시민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식품을 소비해야 한다.

[ⓒ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