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1위 ChatGPT, 추격하는 Gemini, Perplexity

김하영 기자

hashe@metax.kr | 2025-09-09 07:00:00

'글로벌 AI 앱 Top 100'

밴처 캐피탈 a16z(Andreessen Horowitz)가 발표한 ‘Top 100 Gen AI Consumer Apps – 5th Edition’은 현재 글로벌 AI 앱 생태계의 지형도를 한눈에 보여준다. 2025년 현재, 인공지능(AI) 앱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경쟁의 장이 되었으며, ChatGPT가 여전히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그러나 Google의 Gemini, Perplexity, Alibaba의 Quark, ByteDance의 Doubao 등 새로운 도전자들이 빠르게 격차를 좁혀가면서 경쟁 구도가 재편되고 있다.

https://a16z.com/100-gen-ai-apps-5/

우선, ChatGPT는 여전히 글로벌 AI 앱 생태계의 절대 강자로 자리하고 있다. a16z 보고서에 따르면 웹과 모바일 부문 모두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단순한 대화형 챗봇을 넘어 API, 기업용 서비스, 교육, 창작 도구까지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해왔다. 이러한 확장은 ChatGPT를 단순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생태계 자체를 구축한 플랫폼으로 격상시켰다. 

Gen AI Web Product, Top1~50: https://a16z.com/100-gen-ai-apps-5/

전문가들은 ChatGPT를 “AI 앱의 대표적 대명사”라 규정했지만, 동시에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있다는 점도 함께 지적했다. 그 격차를 좁히는 주역은 Gemini와 Perplexity다. FGoogle의 Gemini는 웹 트래픽에서 ChatGPT의 약 12%를 확보하며 2위에 올랐다. Gemini의 강점은 Google 검색과 지식 그래프가 결합된 정확성과 맥락 이해 능력으로, 특히 정보 탐색과 분석의 정밀함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빠르게 선택받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번 a16z 보고서에서 Google의 다양한 AI 제품 매트릭스가 최초로 독립적으로 순위에 오른 것이다.

https://a16z.com/100-gen-ai-apps-5/

Google은 도메인 분리 전략을 통해 자사 AI 제품군을 개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했고, 그 결과 Gemini는 웹에서 2위를 기록했을 뿐 아니라, 모바일 월간 활성 사용자(MAU)도 ChatGPT의 절반에 달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Perplexity는 간결하고 신속한 답변을 무기로 성장하고 있다. 단순한 답변형 챗봇이 아니라 검색과 Q&A의 경계를 재편하는 서비스로 평가받으며, 젊은 층과 전문가 집단에서 입지를 넓혀가는 중이다.

여기에 더해 중국계 앱들의 약진도 눈에 띈다. Alibaba의 Quark는 웹 기준 9위, ByteDance의 Doubao는 12위를 기록하며 본격적인 글로벌 도전을 시작했다. 이는 단순히 중국 내수 시장에 국한된 성과가 아니라, 모바일 중심의 글로벌 확장 전략이 가시화된 결과다. 이러한 흐름은 중국 AI의 세계 시장 침투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다는 것을 보여다. 이는 곧 글로벌 AI 플랫폼 경쟁이 이제는 서구권과 중국 빅테크 간 다극화 국면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 할 수 있다.

Top 100 리스트가 말해주는 것
이번에 발표된 ‘Top 100 Gen AI Consumer Apps’는 단순히 어떤 앱이 더 인기 있는지를 보여주는 차트를 넘어, 글로벌 AI 생태계의 현주소를 드러내는 소비자 지형도에 가깝다. a16z는 데이터 분석 기관인 Similarweb의 “unique monthly visits”(월간 고유 방문자 수) 기준으로 웹 기반 순위를 선정했고, 모바일 앱 순위는 Sensor Tower의 “monthly active users (MAU)”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정했다. 때문에, 이 순위는 단순한 인기투표가 아니라 실제 트래픽과 앱 사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실사용 기반의 소비자의 선택과 행동 패턴이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순위 변동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AI 서비스들이 어떤 전략적 차별화에 주력하고 있는지도 읽을 수 있다. 예컨대 ChatGPT는 범용성과 플랫폼화를 통해 ‘AI의 기본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반면 Gemini는 정확성과 신뢰성을 내세우며, 지식 탐색과 전문적 정보 제공에 강점을 보인다. Perplexity는 신속성과 직관성을 무기로, 빠른 질의응답 경험을 원하는 사용자층을 끌어들이고 있다. 여기에 중국계 앱들은 로컬라이제이션과 모바일 친화성을 강점으로 삼아 글로벌 무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즉, 이번 리스트는 단순한 순위 경쟁을 넘어 AI 서비스들이 각기 다른 가치 제안을 통해 시장을 세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다. 사용자의 실제 이용 데이터가 반영된 만큼, 이는 앞으로 AI 플랫폼이 어떤 방향으로 성장하고, 어떤 기업이 어떤 틈새를 공략할지를 가늠할 수 있는 전략적 청사진으로 볼 수 있다.

다극화되는 플랫폼 경쟁의 시대

AI 앱 시장은 이제 ‘단일 챔피언(ChatGPT)의 시대’에서 ‘다극화된 플랫폼 경쟁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ChatGPT가 여전히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Gemini·Perplexity·Quark와 같은 추격자들은 저마다의 강점을 무기로 시장을 파고들며 균열을 만들어내고 있다. 정확성, 속도, 로컬라이제이션이라는 각기 다른 전략이 시장의 다층적 수요와 맞물리면서 경쟁 구도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순위의 높고 낮음이 아니다. 사용자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얼마나 자연스럽고 맥락에 맞는 경험을 제공하는가가 진정한 승부처다. a16z의 Top 100 리스트는 단순한 인기 차트를 넘어, 앞으로 AI 산업의 권력 지형이 어떻게 재편될지를 미리 보여주는 조기 경보 시스템이다. 그리고 그 경보음은, AI 플랫폼 전쟁이 이제 막 ‘진짜 시작점’에 들어섰음을 알리고 있다.

[ⓒ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