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무성이 사이버 공격 위협 대응 체계를 대대적으로 전환한다.
전문가의 경험을 집약한 AI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결합, 2026년까지 국가 수준의 사이버 위협 조기 감지와 분석 체계를 완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일본 총무성은 2026년까지 ‘AI 기반 사이버 위협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나선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립연구개발법인 정보통신연구기구(NICT)가 주도하며, 2025년 7월 1일 공식 출범한 국가사이버통합실 등 정부 핵심 기관과의 협업도 추진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탐지하기 어려운 ‘다크웹’ 등 은밀한 사이버 공간의 정보까지 포괄적으로 수집·분석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사이버 보안은 전문가의 ‘경험적 직관’과 제한된 데이터 분석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AI가 방대한 위협 데이터와 전문가의 분석 패턴을 학습해 자동화된 판단과 예측을 가능하게 하면서, 신속·정확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인 보안 시스템으로는 접근이 힘든 암시장, 불법 포럼, 해커 커뮤니티 등에서도 위협 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한다.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피해액이 연간 수천억 엔에 달하는 현실에서, 위협의 조기 인지와 대응은 경제적 손실 최소화에 직결된다.
일본 내 사이버보안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AI가 일부 대체, 공공·민간 전반의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할 전망이다.
데이터베이스가 실시간으로 위협을 탐지·분석해 관련 기관에 경보를 발령, 사회 전반에 걸친 사이버 안전망을 구축한다.
데이터베이스 기반 정보 공유가 늘어나면서, 시민과 기업의 사이버 위협 인식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AI가 아직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위협 판단이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도 지적된다. 이에 대한 감시 및 보완 체계 구축이 병행되어야 한다.
다크웹 등 비공개 공간의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무차별적 개인정보 접근이나 사생활 침해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투명성이 요구된다.
사이버 위협은 국경의 경계를 쉽게 뛰어넘는다. 이에 일본 정부는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와의 정보 공유 및 공동 대응 체계 강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5~10년 내에 AI 기반 위협 감지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금융, 전력, 의료 등 국가 핵심 인프라의 필수 기반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변화 속에서 인간 전문가의 직관과 AI의 빠른 분석 능력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하이브리드 위기관리 체계’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또한, AI의 오판이나 데이터 남용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설명 가능한 AI(Explainable AI)’ 도입과 더불어 개인정보 보호 규정 등 윤리적·법적 장치의 강화가 병행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