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 방향이 중요한 한해가 될 것
비수도권은 하락 전망
수도권은 엇갈린 전망
전문가 상승 vs 중개업소 하락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지난해 부동산시장 분석과 올해 전망을 담은 ‘2025 KB 부동산 보고서’를 16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KB금융은 지난해 등락을 반복했던 주택시장이 올해는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특히 지역별 선호도에 따른 차별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의 대출 규제 및 공급 정책이 시장 흐름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주택시장 7대 이슈 분석
KB금융은 2025년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칠 7대 이슈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했다.
1️⃣ 공급물량 – 주택시장 불안의 핵심 요인
2️⃣ 비수도권 주택시장 반등 가능성 – 장기 침체 속 회복 여부
3️⃣ 금리 인하와 대출 규제 –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4️⃣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 가능성 – 서민 주거 수단의 회복 여부
5️⃣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 – 본격 추진에 따른 시장 변화
6️⃣ 서울 아파트 시장 – 주택 경기 판단의 바로미터
7️⃣ 전세시장 불안 요인 – 지속적인 상승세 속 위험 요소
보고서에서는 각 이슈별 상세한 분석과 시장 전망을 담아, 부동산 투자자와 실수요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700명 전문가 설문조사 반영…수도권·비수도권 전망 엇갈려
‘2025 KB 부동산 보고서’는 부동산 전문가, 공인중개사, PB 등 7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현장 의견을 반영했다.
- 전국 주택 매매가격 전망전반적으로 하락 전망이 우세
- 비수도권: 전문가·중개업소 모두 하락 예상
- 수도권: 전문가 상승 전망, 중개업소 하락 전망 → 현장 분위기 반영
이는 최근 거래량 감소 및 주택시장 침체 분위기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지역별 부동산시장 분석 및 자산 유형별 전망 포함
보고서는 수도권을 ▲서울 한강 이남 ▲서울 한강 이북 ▲서울 주요 학군 지역 ▲수도권 주요 정비사업 지역 ▲교통 이슈 지역 등 5개 권역으로 나누어 15개 세부 지역별 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를 분석했다.
또한, 상업용 부동산 시장 진단 및 전망도 포함해 오피스, 물류센터, 상가, 지식산업센터, 오피스텔 등 다양한 자산 유형별 시장 흐름을 정리했다.
전문가 의견 “정부 정책이 시장 흐름 결정할 주요 변수”
KB경영연구소 강민석 박사는 “올해 주택가격 상승 요인과 하락 요인이 혼재된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며, “가계부채 관리 및 주택공급 등 정부 정책이 시장 흐름을 결정할 핵심 변수”라고 설명했다.
한편, KB금융은 1986년부터 주간·월간 주택가격동향조사를 통해 부동산 통계 및 보고서를 생산하며 시장 분석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2018년부터 ‘KB 부동산 보고서’를 매년 발간하며 정확하고 유용한 부동산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