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술이 성공하려면,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야 한다
2. 사람들이 불편하면,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외면받는다
3. 가격이 부담되면, 대중화는 어렵다
기술이 성공하려면,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야 한다
2010년에 등장한 3D TV는 혁신의 중심이었다. 모든 TV 제조업체들이 앞다투어 3D가 미래라고 선언했다.
"이제 영화관이 필요 없습니다. 집에서 3D 영화를 즐기세요!"
“TV는 더 이상 평면이 아닙니다. 깊이 있는 화면으로 몰입하세요!”
삼성, LG, 소니 같은 대형 가전업체들은 3D TV를 가전 업계의 차세대 표준으로 만들겠다고 장담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그들이 말하는 ‘미래’를 기대했다.
그러나 결과는 완전히 달랐다. 3D TV는 등장한 지 불과 몇 년 만에 조용히 사라졌고, 2016년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은 3D TV 생산을 중단했다. CES에서도 "미래"라고 선언했던 기술이, 어째서 이렇게 빨리 실패했을까?
그리고 2025년, 비슷한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메타버스 기술이 새로운 미래로 제시되고 있지만, 과연 그것이 3D TV와 같은 길을 걷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있을까?
사람들이 불편하면,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외면받는다
3D TV가 처음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신기해했다. 영화관에서만 보던 3D 기술을 집에서도 경험할 수 있다는 사실이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막상 사용해보니, 편리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가장 큰 문제는 특수 안경이었다.
"집에서 TV 볼 때마다 안경을 써야 한다고?"
"무겁고 답답한데, 오랜 시간 쓸 수 있을까?"
"가족과 함께 보려면 안경을 여러 개 사야 한다고?"
소비자들은 편안한 TV 시청을 원했다. 하지만 3D TV는 새로운 기술을 경험하기 위해 추가적인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결국 사람들은 3D 기능을 꺼둔 채, 평범한 2D TV처럼 사용했다. TV가 혁신적이어야 할 이유는 있었지만, 기존보다 불편해야 할 이유는 없었다.
지금 메타버스는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메타버스를 제대로 경험하려면 VR 헤드셋을 착용해야 한다.
"헤드셋을 매번 써야 한다고?"
"무겁고 답답한데, 오래 쓸 수 있을까?"
"배터리 수명은 얼마나 되지?"
CES 2025에서 다양한 기업들이 더 가볍고 편한 VR 기기를 선보였지만, 여전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사람들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면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
사람들이 원하는 경험이 중요하다
3D TV가 처음 나왔을 때, 소비자들은 기술 자체에 흥미를 느꼈다. 하지만 정작 구매를 결정할 때는 ‘무엇을 볼 수 있는가’가 더 중요했다. 문제는, 3D TV가 등장한 초기에는 볼만한 콘텐츠가 부족했다는 점이다.
몇 편의 3D 영화가 있었지만, TV 방송과 스포츠 중계는 여전히 2D로 제작되었다. 사람들은 TV를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구매하는 것이다. 하지만 3D TV는 그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다. 지금 메타버스도 비슷한 상황을 맞고 있다.
CES 2025에서 메타버스 관련 기업들은 AI와 연결된 가상 공간, 몰입형 엔터테인먼트, 협업 가능한 VR 오피스 등을 소개했다. 하지만 정작 사람들이 메타버스를 써야 할 이유는 부족했다.
"게임 말고 다른 콘텐츠는?"
"메타버스 오피스가 정말 필요한가?"
"현실보다 불편한데, 왜 굳이 메타버스를 써야 하지?"
메타버스가 진정한 대중화에 성공하려면, 사람들이 거기에 들어갈 이유가 있어야 한다. 3D TV가 "볼 게 없어서" 실패한 것처럼, 메타버스도 콘텐츠가 충분하지 않다면 소비자들에게 외면받을 것이다.
가격이 부담되면, 대중화는 어렵다
3D TV는 기술적으로는 뛰어났다. 하지만 가격이 문제였다. 초기 모델은 상당히 비쌌으며, TV 자체뿐만 아니라 특수 안경, 3D 블루레이 플레이어, 추가 콘텐츠까지 추가 비용이 필요했다.
결국 소비자들은 이렇게 생각했다.
"이 돈이면 더 좋은 2D TV를 사는 게 낫겠어."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으면 의미가 없다. 메타버스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VR 헤드셋은 여전히 비싸다. 고급형 모델은 1,000달러 이상이며 일부 플랫폼은 월 구독료까지 요구한다.
"메타버스를 제대로 경험하려면, 결국 돈이 많이 드네."
지금의 메타버스는 여전히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접근성이 낮다. 기술이 대중적으로 확산되려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메타버스가 3D TV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CES 2025를 보며 한 가지 분명해진 것은, 기술 자체가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메타버스가 진정한 미래 기술이 되려면, 3D TV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먼저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 VR 헤드셋 없이도 접근 가능한 방식이 필요하다. 킬러 콘텐츠도 있어야 한다. 사람들이 메타버스에 머물 이유가 필요하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도 있어야 한다. 가격이 낮아지고, 별도의 장비 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CES 2025에서 메타버스는 "미래"로 불리고 있지만, 정말 사람들이 원하고 있는가?
"사람들은 기술을 사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은 경험을 산다."
메타버스가 진짜 미래가 되려면, 이 단순한 진리를 기억해야 한다. 기술이 아무리 훌륭해도, 사람들이 원하지 않으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메타버스는 3D TV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아니면 진짜 미래가 될 것인가? 그 답은 기술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달려 있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