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9일, 외신 등에 따르면 사모펀드 기업인 블랙스톤(Blackstone)이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부 지분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블랙스톤은 틱톡의 중국 모회사인 바이트댄스(ByteDance)의 기존 비(非)중국 주주들과 함께 틱톡의 미국 사업부를 분리하여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고, 중국 측 지분을 20% 이하로 낮추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틱톡은 중국에서 개발된 유일한 글로벌 SNS 플랫폼으로, 미국의 기존 플랫폼(예: 유튜브, 인스타그램, 스냅챗)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했다. 미국은 자국 기술 생태계 보호와 중국 기술의 확산 억제를 동시에 추진하고자,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부터 틱톡 금지 논의를 반복해 왔고,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에서 안보 위협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특히 2024년 대선 이후 재집권한 트럼프 대통령은 더욱 강경한 대중 정책을 표방하며 틱톡 금지법을 정치적 우선 과제로 삼았고, 이에 따라 2025년 1월 미국 의회는 초당적 합의로 해당 법안을 통과시켰다.
때문에 바이트댄스는 2025년 4월 5일까지 틱톡 미국 사업부를 매각하거나 구조 재편을 마쳐야 하며 불이행 시 미국 내 앱스토어·호스팅 서비스에서 틱톡 배포가 금지된다.
심지어 중국 정부 또는 관련 주체가 지분의 20% 이상을 보유할 경우에도 ‘중국 기업’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미국 내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선 ‘지분 구조 개편’이 필수적이다.
이 시점에서 블랙스톤(Blackstone)의 개입은 단순한 재무적 투자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미국 정부와 정치권이 신뢰할 수 있는 미국계 투자자가 틱톡의 미국 법인에 참여함으로써, "중국의 통제에서 벗어났다"는 정치적 명분과 대외 메시지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블랙스톤은 막대한 자금력뿐 아니라 규제 당국과의 교섭력, 보안·통제에 대한 관리 역량을 갖춘 투자자로, 향후 틱톡 미국 법인의 거버넌스(지배구조)에서 일정 역할을 맡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즉, 블랙스톤의 참여는 미국 정부를 향한 ‘안심 카드’이자, 틱톡 입장에서는 미국 내 생존을 위한 ‘안전핀’ 역할을 할 수 있는 셈이다.
이를 뒷받침하듯,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틱톡 매각 협상은 마감 시한 전인 토요일(4월 5일) 이전에 타결될 것”이라며, 미국 정부가 “이미 유력한 매수자를 확보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으로부터의 기술적 독립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보장할 수 있는 미국 투자자의 역할이 결정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블랙스톤과 같은 대형 사모펀드가 틱톡 매각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틱톡의 운명은 단순한 기업의 경영 문제를 넘어, 미·중 간 기술 주권 경쟁의 상징이 되고 있다. 블랙스톤의 선택이 틱톡의 미래를 결정짓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전개에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METAX = 김하영 기자]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