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AI 산업을 흔드는 작지만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AI 스타트업 Anthropic이 자사의 대표 서비스인 Claude API에 대한 OpenAI의 접근을 전격 차단한 것이다. 다수의 언론에 따르면, OpenAI는 Claude의 코드 생성 기능(Claude Code Interpreter) 을 자사 내부 테스트, 즉 GPT‑5의 기능 벤치마킹 및 역량 비교용으로 활용했으며, Anthropic은 해당 행위를 자사 서비스 약관(TOU: Terms of Use) 에 명시된 “경쟁 제품 개발, 모델 학습 또는 역설계 목적의 사용 금지” 조항에 위배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의 기능이나 데이터를 쓸 수 있도록 정해진 방법(규칙)을 제공하는 것.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끼리 서로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창구

Anthropic 측 대변인은 다수의 언론을 통해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혔다.
“Our terms of service prohibit using our models to train or develop competing models. We believe OpenAI’s use of Claude violated these terms.”
(우리 약관은 자사 모델을 경쟁 모델의 훈련이나 개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우리는 OpenAI의 Claude 사용이 이 약관을 위반했다고 판단합니다.)
반면 OpenAI는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는 ‘연구 목적의 일시적 API 활용’이었다는 점에서 의도적인 위반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nthropic 공식 대변인은 “모든 벤치마킹 목적이 금지된 것은 아니며, 일부 연구 목적 사용은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상업용 모델 개발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테스트는 예외 없이 차단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양사는 현재 공식적인 법적 충돌을 피하고 있으나, 이 조치는 단순한 API 접근 제한을 넘어, AI 플랫폼 간 '전략적 폐쇄’가 실질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첫 신호로 해석된다.
이제 API는 공유 가능한 기술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경쟁을 막기 위한 방패이자, 기업 전략의 최전선이 되었다.
◎ 플랫폼 폐쇄성의 본격화
한때 API는 혁신의 상징이었다. 특히 AI 산업에서 API는 대형 모델의 성능을 외부에 개방하고, 다양한 개발자와 기업이 이를 실험하거나 결합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핵심 인프라였다.
GPT, Claude, PaLM 등 대표적인 언어 모델들은 누구나 접근 가능한 API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고, 이는 기술 생태계 전반의 벤치마킹, 협업, 상호학습을 촉진하는 개방형 흐름을 형성했다.
그러나 2025년 8월 Claude API에 대한 OpenAI의 접근이 차단되면서, 이 개방 구조에 근본적인 균열이 나타났다. Anthropic이 취한 조치는 단순한 서비스 제한을 넘어, AI 플랫폼 간의 상호호환성과 기술 공유의 가능성 자체가 축소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API가 이제 실험을 위한 열린 도구가 아니라, 경쟁자를 견제하고 배제하기 위한 전략적 장벽으로 작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사실 이러한 흐름은 AI 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과거에도 한 대형 플랫폼 기업이 급성장하던 외부 서비스의 API 접근을 막아, 해당 생태계의 확장을 원천적으로 차단했던 사례가 있다.
대표적인 예가 페이스북(Facebook)과 바인(Vine) 간의 사례다.
2013년, 당시 급부상하던 숏폼 영상 플랫폼 Vine은 사용자들이 친구를 찾을 수 있도록 페이스북의 소셜 그래프 API를 이용해 가입자 연결 기능을 구현하고 있었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Vine의 인기가 빠르게 상승하자, 돌연 Vine의 API 접근을 차단해버렸다. 이로 인해 Vine은 친구 찾기 기능을 잃고, 사용자 네트워크 확장에 심각한 제약을 받게 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플랫폼의 성장 속도를 둔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사건은 단지 기술적 차단이 아니라, 플랫폼 생태계 내부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견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그리고 오늘날 Claude API 접근 제한 역시, 비슷한 전략이 AI 산업에서도 본격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이다. 즉,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경쟁자의 기술 접근을 API 수준에서 조기 차단하고, 생태계 확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식이 다시금 플랫폼 전략의 핵심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술은 끊임없이 진보하고 있지만, 플랫폼 전략은 점점 더 개방에서 폐쇄로, 공존에서 배제로 회귀하고 있다. 때문에 AI API는 이제 더 이상 실험과 협업을 위한 ‘공정한 실험실’이 아니다.
그것은 경쟁사의 학습과 확장을 차단하는 디지털 철조망이자, 플랫폼의 방어막이며 동시에 공격 무기로 재정의되고 있다.
◎ API는 이제 제품이자, 무기다
이번 사태의 핵심은 명확하다. Claude API는 더 이상 기술적 중립 자산이 아니다.
Anthropic은 Claude Code의 고성능과 상업적 활용도를 철저히 전략 자산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접근 권한과 사용 조건을 공격적 수준으로 재정비하고 있다.

Claude Code는 단순한 코드 생성기를 넘어, 디버깅, 테스트, 자동화된 커밋 생성까지 가능하게 하는 고급 AI 툴이다. 프로그래머가 자연어로 지시하면 Claude가 코드 작업 전체를 대행하며, 이는 기존의 GPT‑4 Code Interpreter나 Meta의 Code LLaMA 등과 정면으로 경쟁할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Claude는 클라우드 API와 CI/CD 파이프라인을 연동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하고 있어, 기업용 코드 자동화 시장에서 매우 민감한 경쟁력을 갖는다.
이런 상황에서 Anthropic이 경쟁사(OpenAI)의 접근 자체를 원천 차단한 것은, Claude API를 단순한 서비스가 아닌 차별화된 제품이자 시장 방어 무기로 삼겠다는 선언에 가깝다. 마치 NVIDIA가 자사의 GPU를 AI 모델 훈련에 핵심 자산으로 활용하며 경쟁사와의 우선 공급을 조정하는 전략과 유사하다.
이처럼 AI 인프라에서 API는 이제 기술을 "나누는" 창구가 아니라, 기술을 "걸어 잠그는" 진입 장벽이 되고 있다.
◎ 개방과 폐쇄의 경계에서

이번 Claude API 사건은 단순한 이용 제한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AI 산업 전반이 더 이상 개방성과 상호 벤치마킹을 기반으로 한 생태계를 지속하지 않을 가능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플랫폼들은 오히려 그 기술을 경쟁사와 공유하지 않기 위해 더 단단히 폐쇄하고, 더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다.
비슷한 사례는 Salesforce가 Slack 인수 이후, MS Teams와의 API 연동을 단계적으로 약화시킨 전략, 혹은 Apple이 App Store 외부 결제를 제한하면서 API와 SDK 접근을 조절한 정책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단지 시장점유율 경쟁이 아니라, 생태계 주도권을 두고 벌이는 ‘기술 통로 확보 전쟁’인 것이다.
이제 API는 단순한 기술 도구가 아니라, 플랫폼을 방어하고 경쟁자를 견제하며 시장 우위를 고착시키는 전술 자산이다. Claude API 사건은 그 첫 번째 경고일 뿐이다.
AI 플랫폼 경쟁 시대에서의 API는 더 이상 공유 자원이 아닌, 명백한 전장이 되고 있다.
[METAX = 김하영 기자]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