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X 라스베이거스 = 정수연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5'는 전 세계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 잡으며, 올해도 인공지능(AI)과 확장현실(XR) 기술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이 기술들은 개인의 일상부터 산업 현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CES 2025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끈 분야 중 하나는 AI 기반 기술이었다. 특히, AI는 데이터 분석,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그리고 자율주행과 같은 다양한 기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더 정교하고 실용적인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동시에XR 기술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그리고 혼합현실(MR)을 통합한 새로운 경험을 제시하며, 사용자 경험의 질을 크게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CES에서 선보인 기술들이 단순한 개념을 넘어 상용화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예를 들어, Sony의 XR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소비자 중심의 기술 발전을 보여줬으며, 한국의 기업들도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며AI와 XR 융합 기술의 선두 주자로 나섰다. CES 2025는 이러한 기술들이 미래의 일상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장이었다.
◆ 올해의 혁신: Best of Innovation Awards 수상작
CES 2025의 Best of Innovation Awards는 각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과 창의성을 인정받은 제품들에게 수여됐다. 이번 수상작들은 AI와 XR 기술의 가능성을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데 중점을 뒀다.
캐나다의 Haply Robotics는 메타버스 환경을 위한 소형 햅틱 장치인 ‘minVerse’로 주목받았다. 이 제품은 사용자가 가상 세계와 상호작용할 때 실제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됐다. minVerse는 정밀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해 몰입감 있는 가상 경험을 가능하게 하며, 메타버스 활용 사례를 확대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Sony의 XR Head-Mounted Display인 SRH-S1은 XR 분야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 제품은 4K OLED 패널을 장착해 생생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퀄컴 최신 XR 프로세서를 활용해 고성능과 효율성을 갖췄다. 플립업 메커니즘을 통해 현실과 가상 공간 간 전환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링 컨트롤러를 사용해 가상 객체와의 정밀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CES 2025의 수상작들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실질적인 사용자 경험 개선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 한국의 XR 기술, 글로벌 무대에 서다
CES 2025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XR 기술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았다. 대표적인 사례로NEWJAK과 DEEP.FINE이 있다.
NEWJAK은 헤드셋 없는 메타버스 XR 플랫폼인 ‘X-RUNNER’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경험을 제시했다. 이 플랫폼은 복잡한 3차원 맵을 누구나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돕는 특허 기술을 적용했다. 라이다(LiDAR) 장비 없이도 모바일 기기만으로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2D 및 3D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DEEP.FINE의 Spatial Crafter(DSC)는 이미지 기반 3D 지도와 XR 콘텐츠 구축 기술로 주목받았다. 이 기술은 GPS가 제한되는 실내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간 데이터를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 기업은 이미 서울시와의 협업을 통해 AR 기반 내비게이션 사업을 진행했으며, 실내 전시관의 디지털 콘텐츠 구축 사례를 통해 기술력을 입증했다. 한국 기업들의 이러한 성과는 XR 기술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시사점
CES 2025는 AI와 XR 기술의 융합이 미래 혁신의 중심이 될 가능성을 명확히 보여줬다. AI가 XR의 한계를 보완하고 새로운 활용 방안을 제시하면서 두 기술의 결합은 엔터테인먼트와 게임을 넘어 교육, 의료,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AI는 XR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인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가상 환경을 최적화하거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XR 기술이 제공하는 몰입감과 현실감은 한층 강화된다. CES 2025에서 Sony의 XR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 이 기기의 플립업 메커니즘과 정밀한 컨트롤러는 현실과 가상을 자연스럽게 연결했고, AI는 XR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의 복잡성을 크게 줄였다.
또한, AI와 결합된 XR 기술은 데이터 기반 산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자리 잡을 가능성도 크다. DEEP.FINE이 선보인 VPS 기술은 실내 환경에서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였다. 이러한 기술은 물류, 스마트 시티 관리, 건축 설계 등 다양한 산업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다.
더 나아가, AI와 XR 기술의 융합은 물리적 제약을 넘어선 가능성을 열어준다. 예를 들어, 가상 공간에서의 협업과 고정밀 시뮬레이션, 비대면 의료 진단 같은 분야는 현실 세계의 한계를 보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XR 기술이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한다면 인간의 삶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다만, 기술 발전과 함께 윤리적 문제와 개인정보 보호 등의 과제가 제기될 가능성도 크다. AI가 분석하는 데이터의 안전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기술 발전의 혜택이 사회 전반에 고르게 돌아가도록 포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결국, AI와 XR의 결합은 기술적 진보를 넘어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 혁신이 앞으로 우리의 일상과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 논문
<산업인공지능을 활용한 XR 기반 제조 메타버스 기술 연구 소개-최성호, 박경범, 문홍주, 이재열(2022)>
논문요약: 본 연구는 XR 환경에서 제조 환경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람 중심의 스마트 제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산업인공지능 기술과 XR 기반 디지털 트윈 융합한 제조 메타버스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논문링크: 링크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