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blog.naver.com/jack0604/223834356563
[TL;DR] 신동형과 함께 공부하는「애플 팀쿡의 AR 스마트 글래스에 대한 집착과 야망」보고서(2025.04.16)

1. 팀 쿡의 AR 집착: "다른 것에는 관심 없다"
1.1. 10년 이상 이어온 AR에 대한 비전
팀 쿡 CEO는 애플의 수장으로 취임한 이후 거의 10년 동안 증강현실(AR)의 잠재력에 대해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해왔습니다. 블룸버그의 마크 거먼에 따르면, 쿡은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보다 먼저 "업계를 선도하는" AR 글래스를 출시하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한 내부 소식통은 "팀은 다른 어떤 것에도 관심이 없다"고 전했으며, AR 글래스가 "제품 개발 측면에서 그가 실제로 시간을 쏟고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집중은 2016년 7월 분기 실적 발표에서 쿡이 "우리는 장기적으로 AR에 높은 기대를 갖고 있다"고 언급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그는 포켓몬 고(Pokémon Go)의 성공을 AR 기술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했습니다. 이후 그해 유타 테크 투어에서 쿡은 "선진국 인구의 상당 부분"이 "하루 세 끼 식사를 하는 것처럼, 매일 AR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그는 "컴퓨터에 묶여 있는 것을 허용할 만한 사람은 여기에 거의 없다"며 "우리는 모두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다. 내성적인 사람도 사회적 존재다"라고 강조하며 AR의 일상적 사용을 예견했습니다.
1.2. 스티브 잡스의 그림자: 혁신적 레거시 구축 욕구
팀 쿡의 AR에 대한 집착은 스티브 잡스가 남긴 혁신적 유산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비전 프로(Vision Pro)는 쿡의 CEO 재임 기간 동안 출시된 몇 안 되는 완전히 새로운 하드웨어 제품 중 하나입니다. 스티브 잡스는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맥(데스크톱 및 노트북 구성, 특히 대중적인 맥북 에어 포함) 등 애플의 가장 상징적인 제품들을 디자인하고 출시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iTunes 스토어를 가능하게 한 거래를 성사시켜 음악 스트리밍 산업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쿡은 잡스 밑에서 COO로 일하며 아시아의 공급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운영 전문가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2011년 잡스가 사망한 후, 많은 이들이 쿡이 잡스처럼 획기적인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애플 워치와 에어팟은 쿡의 지휘 아래 성공을 거둔 제품이지만, 홈팟이나 에어태그 같은 다른 제품들은 그만큼의 화제를 불러일으키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이러한 제품들은 원치 않는 홍보를 유발했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애플이 자동차 계획을 취소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쿡은 비전 프로와 같은 고비용 투자가 성공해야 한다는 더 큰 압박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AR 글래스는 쿡에게 단순한 제품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것은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처럼 산업을 재정의하고 애플의 미래를 향후 수십 년 동안 형성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품을 창조함으로써 자신만의 혁신적 유산을 구축할 기회입니다.
1.3. "하루 세 끼 식사처럼" - AR의 일상화 전망
팀 쿡은 AR 기술의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에 대해 끊임없이 언급해왔습니다. 2017년 옥스퍼드 대학교가 주최한 행사에서 그는 "AR에 대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흥분하고 있다"며 "교육, 소비자,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등 모든 곳에서 사용 사례를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내가 알고 있는 모든 비즈니스에서 그것을 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쿡의 이러한 비전은 AR이 단순한 틈새 기술이 아니라 스마트폰처럼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필수적인 일상 기술이 될 것이라는 견해를 반영합니다. 이는 단순히 게임이나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교육, 업무, 커뮤니케이션 등 인간 활동의 거의 모든 측면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기술로 AR을 바라보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쿡의 이러한 장기적인 비전은 애플이 비전 프로의 초기 채택률이 낮더라도 AR/VR 기술에 계속해서 상당한 자원을 투자하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비전 프로의 생산은 2024년 1월 수요 부진으로 인해 중단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애플이 장기적인 AR 비전을 포기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오히려 최종 목표인 일반 안경처럼 보이는 AR 글래스로 가는 중간 단계로 비전 프로를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애플의 차세대 AR/VR 제품 로드맵
2.1. Vision Pro 2: 가볍고 저렴해진 후속작
애플은 현재 비전 프로의 후속 모델을 적극적으로 개발 중이며, 이는 현 버전의 두 가지 주요 약점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블룸버그의 마크 거먼에 따르면, 애플은 초기에는 단순한 칩 업그레이드만 고려했지만, 이제는 "더 나아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비전 프로는 "더 저렴하고 가벼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급망 분석가 밍치궈는 작년 9월 M5 칩셋을 탑재한 새로운 비전 프로의 대량 생산이 2025년 하반기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당시 궈는 하드웨어 디자인이나 가격이 "많이"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거먼의 최근 보고서는 애플이 좀 더 야심찬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비전 프로 2의 개발은 초기 제품에 대한 시장 반응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3,500라는 높은 가격과 상당한 무게는 많은 리뷰어들이 지적한 주요 단점이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애플은 비전 프로를 틈새 제품에서 더 넓은 소비자 기반을 가진 제품으로 전환하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의 한 보고서는 이미 비전 프로 2의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거먼은 정확한 출시 일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애플이 여전히 제품의 최종 사양과 생산 일정을 조정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2.2. M5 칩셋의 성능 향상 효과
비전 프로 2의 핵심 기술적 진전 중 하나는 차세대 M5 칩셋의 통합입니다. 비록 M5 칩은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지만, 애플의 칩 발전 패턴을 보면 상당한 성능 향상이 예상됩니다. 애플에 따르면 M4는 M2보다 CPU가 50% 더 강력하고 GPU는 4배 더 강력합니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M5 탑재 비전 프로는 현재 모델에 비해 "놀라운 성능 향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능 향상은 AR/VR 경험의 품질과 다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더 강력한 프로세서는 더 복잡한 AR 애플리케이션, 더 현실적인 그래픽, 더 정교한 공간 맵핑, 그리고 더 자연스러운 사용자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은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거나 더 가벼운 배터리 사용을 통해 전체적인 무게 감소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선 사항들은 비전 프로가 이미 가지고 있는 핵심 기능(외부를 향한 카메라 배열, 내부 눈 추적 카메라, 가상 및 증강 현실 경험, Mac 컴퓨터 미러링 기능 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2.3. Mac 연결형 헤드셋: 새로운 활용 시나리오
애플의 AR/VR 전략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Mac 연결형 헤드셋의 개발입니다. 이 제품은 독립형 비전 프로와는 다른 사용 사례를 겨냥하고 있습니다. 마크 거먼은 애플이 "같은 개념"(원래 Mac에 연결되는 장치)을 전달하지만 "비전 프로와 유사한 불투명 VR 스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품을 계획하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장치는 "초저지연 Mac 가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며, "독립형 비전 프로 2보다 저렴하고 상당히 가벼울 잠재력"이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흥미로운 전략적 의미를 가집니다. 애플은 완전한 독립형 AR 글래스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특정 사용 사례에 맞춰진 다양한 형태의 헤드셋을 출시함으로써 시장을 점진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Mac 연결형 헤드셋은 특히 생산성 향상과 업무용 사용 사례에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형 가상 디스플레이, 증강된 작업 공간, 3D 모델링 및 디자인 애플리케이션과의 직관적인 상호작용 등은 이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핵심 기능들입니다. 특히 공간적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용자들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무한한 가상 화면 공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애플이 AR/VR 기술의 채택을 가속화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 등급과 가격대를 탐색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Mac 연결형 헤드셋이 비전 프로보다 저렴하다면, 이는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애플의 AR/VR 생태계를 경험할 수 있는 진입점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애플의 AR 플랫폼 채택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전략적 단계가 될 수 있습니다.
3. 애플 vs 메타: 철학적 경쟁
3.1. 폐쇄형 vs 개방형 접근법
애플과 메타의 AR/VR 접근 방식 차이는 단순한 제품 차별화를 넘어 근본적인 철학적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마크 저커버그는 이전에 애플과 메타 간에 "매우 깊은 철학적 경쟁"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 경쟁의 핵심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통합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에 있습니다.
애플의 접근법은 항상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긴밀한 통합에 중점(최고의 경험)을 두어왔습니다. 이는 애플의 모든 기기에서 볼 수 있는 특징으로, iPhone, iPad, Mac 등의 제품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비전 프로도 예외가 아니며, 애플은 독점적인 소프트웨어 생태계와 정교하게 설계된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일관되고 매끄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반면 메타의 비전은 "장치에 구애받지 않는 경험"에 중점을 둡니다. 메타는 자사의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유형의 VR 및 AR 기기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메타가 제작하지 않은 기기를 포함한 광범위한 하드웨어 생태계에서 작동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이는 마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다양한 제조업체의 스마트폰에서 작동하는 것과 유사한 접근법입니다.
이러한 철학적 차이는 두 회사의 광범위한 기업 전략과 일치합니다. 애플은 프리미엄 하드웨어 판매와 자체 서비스 생태계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데 집중하는 반면, 메타는 광범위한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고 그들의 상호작용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3.2. 저커버그의 메타버스 vs 쿡의 증강현실
메타와 애플의 접근법 차이는 그들이 AR/VR 기술의 미래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도 반영됩니다. 마크 저커버그는 "메타버스"가 "모바일 인터넷의 후속"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의 비전에서 메타버스는 가상 아바타가 일, 놀이, 사교 활동을 위해 다양한 플랫폼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가상 공간의 네트워크입니다. 이는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경험으로, 현실 세계의 상호작용을 디지털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반면 팀 쿡의 비전은 증강현실에 더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는 AR이 가상 세계를 만드는 것보다 실제 세계를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믿는 것으로 보입니다. 쿡이 말한 대로, AR은 "컴퓨터에 묶여 있는" 것에서 벗어나 더 자연스럽고 사회적인 방식으로 디지털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접근법은 가상 세계에 몰입하기보다 실제 세계를 디지털로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차이는 두 회사의 제품 개발 방향에도 반영됩니다. 메타의 Quest 헤드셋은 주로 몰입형 VR 경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들의 AR 글래스 개발은 소셜 상호작용과 메타버스 통합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반면 애플의 비전 프로는 VR과 AR 기능을 모두 제공하지만, 팀 쿡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상적인 증강현실 경험을 제공하는 스타일리시한 AR 글래스인 것으로 보입니다.
3.3. R&D 투자 경쟁: 314억 vs 439억 달러
애플과 메타 모두 AR/VR 기술 개발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어, 이 분야에 대한 그들의 장기적인 전념을 보여줍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2024년 연구개발에 314억 달러를 할당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약 5%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메타는 2023년 연구개발에 무려 439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4% 증가한 금액입니다.
메타의 R&D 지출이 더 크고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메타가 AR/VR 기술에 "올인"하는 전략적 결정을 반영합니다. 저커버그는 회사의 미래를 메타버스에 걸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당한 자원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투자자들은 "메타가 메타버스에 쏟아붓고 있는 돈의 양에 대해 그다지 기뻐하지 않았다"고 보도되었습니다.
애플의 R&D 지출은 더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에 분산되어 있지만, AR/VR은 분명히 중요한 초점 영역입니다. 팀 쿡이 AR 글래스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 기술이 애플의 R&D 우선순위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두 가지 핵심 사실을 강조합니다. 첫째, 두 회사 모두 AR/VR이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진지하게 믿고 있습니다. 둘째, 이러한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는 상당한 기술적 도전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가 필요합니다.
4. AR 글래스의 기술적 도전
4.1.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연구
애플의 AR 글래스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적 도전 중 하나는 적절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AR 글래스용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LED 기술은 작은 크기, 높은 밝기, 낮은 전력 소비, 그리고 우수한 색상 표현 능력 때문에 AR 글래스에 이상적입니다.
전통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은 일반적인 안경 렌즈에 통합하기에는 너무 두껍고, 밝기가 충분하지 않으며, 너무 많은 전력을 소비합니다. 마이크로LED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대량 생산하기에는 여전히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기술입니다.
애플의 마이크로LED 연구는 AR 글래스의 가장 큰 기술적 과제 중 하나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효과적인 AR 글래스는 실내와 밝은 햇빛 아래에서도 모두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합니다. 또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수명을 최대화하고 기기의 전체적인 무게와 크기를 줄여야 합니다.
4.2. "많은 시간이 필요" - 상용화 타임라인
AR 글래스가 현실이 되기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는 점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습니다. 마크 거먼은 2023년에 애플이 기술적 도전으로 인해 독립형 AR 글래스 계획을 "무기한" 연기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도전을 "공상 과학에서 현실로 가져오는" 엔지니어링 문제로 설명했습니다. 이는 이 기술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소비자용 제품으로 상용화되기 전에 상당한 기술적 발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시간적 제약은 애플의 점진적 접근 방식을 설명합니다. 비전 프로는 온전한 AR 글래스가 아니라 AR과 VR 기능을 모두 갖춘 대형 헤드셋입니다. 비전 프로 2와 Mac 연결형 헤드셋은 이 여정의 다음 단계로, 애플이 궁극적인 목표인 일반 안경과 같은 형태의 AR 글래스로 가는 과정에서 기술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키고 시장을 개발하는 중간 제품들입니다.
팀 쿡이 AR 글래스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는 사실은 긴 개발 기간에도 불구하고 애플이 이 기술에 장기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아이폰이 처음 개발되었을 때와 유사한 상황으로, 혁신적인 제품은 종종 수년간의 연구와 개발, 그리고 여러 번의 기술적 돌파구가 필요합니다.
4.3. Meta Orion의 영향과 경쟁심 자극
메타의 Orion AR 글래스 프로토타입과 기술 업계의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은 애플 내에서 경쟁 심리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거먼은 이전에 Orion이 애플 내에 "경쟁적 정신"을 촉발했으며, 이 10년 내에 기술적으로 가능한 것이 무엇인지 재평가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고 제안했습니다.
메타의 Orion은 여러 저널리스트들을 "감동"시켰으며, 이는 AR 글래스 기술이 생각보다 더 발전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것이 팀 쿡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메타보다 먼저 "업계를 선도하는" AR 글래스를 출시하겠다는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 구도는 기술 혁신에 유익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이 스마트폰 혁명을 촉발했듯이, 애플과 메타 간의 경쟁은 AR 기술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결국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또한 기술적 타당성을 넘어서는 제품을 서둘러 출시하도록 압박할 위험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5. 시장과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5.1. iPhone 순간을 향한 경주
애플과 메타 모두 AR 글래스가 스마트폰의 등장과 유사한 기술적 혁명의 순간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마크 거먼은 팀 쿡이 "메타가 아닌 애플이 매력적인 진정한 AR 글래스의 도입으로 새로운 '아이폰 순간'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떤 것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아이폰 순간"이라는 표현은 2007년 아이폰 출시가 모바일 산업에 미친 변혁적인 영향을 가리킵니다. 아이폰 이전에도 스마트폰은 존재했지만, 애플의 혁신적인 설계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체 산업을 재정의했습니다. 마찬가지로, AR 기술은 이미 존재하지만, 아직 대중적인 채택을 촉발할 만한 획기적인 제품은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이것은 AR/VR 공간에서 성공적인 혁신이 엄청난 시장 기회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아이폰이 애플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회사 중 하나로 만들었듯이, 성공적인 AR 글래스는 유사한 성장 잠재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또한 이러한 기술이 상용화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인 잠재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5.2. 단계적 제품 출시 전략
애플의 AR/VR 전략은 단계적인 제품 출시를 통한 점진적 접근법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최종 목표인 완전한 AR 글래스로 가는 여정에서 여러 중간 제품을 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몇 가지 중요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첫째, 이는 애플이 시장 피드백을 수집하고 제품을 반복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해줍니다. 비전 프로의 초기 사용자들로부터 얻은 통찰력은 비전 프로 2와 Mac 연결형 헤드셋의 개발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개선은 궁극적으로 AR 글래스가 출시될 때 더 강력한 제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둘째, 중간 제품들은 소비자들이 AR/VR 기술에 익숙해지도록 돕습니다. 큰 헤드셋에서 시작하여 점차 작고 가벼운 제품으로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이러한 기술의 가치와 사용 사례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AR 글래스의 채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셋째, 이러한 중간 제품들은 개발자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전 프로용으로 만들어진 앱과 경험들은 미래의 AR 글래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새 제품 출시 시점에 이미 풍부한 앱 생태계가 존재하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이것은 애플이 단기적인 제품 성공과 장기적인 비전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전 프로가 대중 시장 제품으로서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더라도, 그것은 여전히 애플의 AR/VR 전략에서 중요한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5.3. 애플의 제품 다각화와 성장 가능성
AR/VR에 대한 투자는 애플의 광범위한 제품 다각화 전략의 일부입니다. 현재 아이폰은 애플 수익의 약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회사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AR/VR 제품들은 애플의 하드웨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AR/VR 기술은 애플의 기존 제품 및 서비스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ac 연결형 헤드셋은 Mac 컴퓨터의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이 애플의 생태계 내에 머물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AR 글래스는 아이폰, 애플 워치, 에어팟과 같은 기존 제품들과 통합되어 새로운 사용 경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AR/VR이 단기적으로는 애플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지만, 장기적으로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팀 쿡이 이 기술에 개인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것이 단순한 부수적인 사업이 아니라 애플의 미래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증강현실, #애플, #팀쿡, #비전프로, #메타, #AR글래스, #마이크로LED, #저커버그, #미래기술, #스마트글래스
참고자료
Tim Cook ‘cares about nothing else’ product-wise other than beating Mark Zuckerberg to a pair of truly smart glasses (SmithDave, 2025)(LINK)
Apple Vision Pro 2 Reportedly Cheaper & Lighter, Mac-Tethered Headset Coming Too (HeaneyDavid, 2025)(LINK)
[출처] [TL;DR] 신동형과 함께 공부하는「애플 팀쿡의 AR 스마트 글래스에 대한 집착과 야망」보고서|작성자 jack0604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