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일AI의 데이터 인프라 확보로 AI 모델 개발 속도·품질 한층 높인다.'
메타(Meta)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대형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최근 메타는 AI 데이터 인프라 기업 스케일 AI(Scale AI)에 약 150억 달러(정확히는 148억~150억 달러)를 투자해 49% 지분을 취득하기로 했으며, 스케일 AI의 CEO이자 창업자인 알렉산더 왕(Alexandr Wang)을 영입해 새로운 ‘슈퍼인텔리전스’ 연구실을 이끌게 할 예정이다.
메타는 최근 자체 대형 언어모델(Llama 4)이 시장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AI 경쟁력에 대한 내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OpenAI, Google, Microsoft 등이 선점한 AI 시장에서 메타가 뒤처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주커버그(Mark Zuckerberg) CEO는 직접적으로 위기감을 표명하며 조직 개편과 대규모 투자에 나섰다. 그리고 그 첫 번째 선택이 '스케일AI'인 것이다.

'스케일 AI'는 AI 모델 훈련에 필수적인 고품질 데이터 라벨링 및 정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 기업으로, 2016년 설립되었다. 주요 고객으로는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OpenAI 등 글로벌 기업과 미국 국방부 등 정부 기관이 있으며, 대규모 데이터를 고품질로 가공해 AI 모델의 성능과 배포 속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 미션이다. 메타는 스케일 AI의 기술력과 데이터 인프라를 확보함으로써, 대형 AI 모델 개발 속도를 높이고, 향후 ‘슈퍼인텔리전스’(인간 수준을 넘어서는 AI, AGI)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는 전략적 판단을 내렸다.
CEO 영입과 조직 개편, 그리고 ‘슈퍼인텔리전스’ 연구실
이번 투자는 단순한 자본 투입을 넘어, 스케일 AI의 CEO 알렉산더 왕을 메타로 영입해 AI 연구팀을 이끌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알렉산더 왕은 MIT 중퇴 후 20대에 스케일 AI를 창업해 글로벌 AI 데이터 인프라 시장을 선도한 인물로, 기술적 역량과 비즈니스 감각을 모두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메타는 왕이 이끄는 신설 ‘슈퍼인텔리전스’ 연구실에 최고 수준의 연구자와 엔지니어를 추가로 영입할 계획이다.
주커버그는 최근 내부 AI 리더십에 대한 신뢰도 하락을 보이며, 외부 핵심 인재 영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는 메타가 기존의 연구 중심 조직(FAIR)에서 제품 중심(GenAI)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리더십 공백을 메우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완전 인수 아닌, 전략적 투자와 인재 영입
메타는 스케일 AI를 완전히 인수하는 대신, 지분 투자와 핵심 인재 영입 방식을 선택했다. 이는 최근 Google, Microsoft 등이 AI 스타트업을 인수하지 않고 핵심 인재만 영입하는 트렌드와 유사하다. 특히 메타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의 반독점 소송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완전 인수보다는 전략적 투자가 더 유리하다는 판단이 반영된 결과다. 스케일 AI의 투자자들도 이번 거래로 일부 현금을 회수할 수 있게 되었으며, 메타의 지원을 받아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크다. 다만, 스케일 AI의 주요 고객 중 일부(예: Google, OpenAI)가 메타와의 제휴 이후 거래를 중단할 가능성도 있지만, 메타는 자체 영업 조직을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메타의 AI 대전환, 성공할 수 있을까?

업계 전문가들은 메타의 스케일 AI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단순한 자본 투입을 넘어, AI 경쟁력 회복을 위한 결정적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스케일 AI가 보유한 정교한 데이터 라벨링 및 정제 인프라는 최신 대형 언어모델(LLM) 개발에 필수적이며, 이 분야에서 이미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메타가 이 인프라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AI 모델의 품질과 개발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스케일 AI의 CEO이자 창업자인 알렉산더 왕 등 핵심 인재를 영입해 메타 내에 '슈퍼인텔리전스' 연구실을 신설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단순한 LLM 개발을 넘어, 인간 수준을 뛰어넘는 인공일반지능(AGI) 분야에 본격적으로 도전하겠다는 메타의 전략적 의지를 방증한다. 업계는 메타가 이번 투자를 통해 대형 AI 모델 및 AGI 연구에서 경쟁사와의 격차를 빠르게 좁혀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메타와 스케일 AI 모두 이번 거래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 가운데, 실제 성과는 주커버그의 리더십과 두 조직 간 통합 역량에 달려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메타는 AI 경쟁에서 다소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온 만큼, 이번 투자와 인재 영입은 글로벌 AI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과감한 승부수로 해석된다.
메타가 스케일 AI의 인프라와 인재를 품은 만큼, 앞으로 어떤 혁신을 이끌어낼 지, 이번 대형 투자가 주커버그의 AI 전략에 결정적인 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을지,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