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 기반 + 워크플로우 구조의 융합
구글이 미국에서 AI 기반 미니 웹앱 제작 툴 ‘Opal’의 테스트를 시작했다. 이른바 ‘바이브 코딩(Vibe-Coding)’이라 불리는 새로운 창작 흐름 속에서, 프롬프트만으로 앱을 만들 수 있는 도구들이 빠르게 확산 중이다.
코딩을 몰라도 아이디어만 있으면 앱을 구현할 수 있는 시대, 그 중심에 구글이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구글의 실험실 ‘Opal’
Opal은 Google Labs를 통해 제한적으로 테스트 중인 신형 생성형 AI 서비스다. 사용자는 단순히 텍스트로 앱의 콘셉트나 기능을 입력하면, 구글의 여러 AI 모델이 이를 바탕으로 미니 웹앱을 생성한다.
Opal의 주요 기능
|
구글이 실험 중인 AI 기반 미니 앱 제작 도구 ‘Opal’은 복잡한 코딩 없이도 누구나 웹앱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는 단지 텍스트로 앱의 아이디어나 기능을 설명하기만 하면, Opal이 초기 앱 구조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예를 들어 “할 일 목록 앱”이라고 입력하면, 입력 필드와 체크박스 등 기본 구성 요소를 갖춘 앱 틀이 바로 만들어진다.
이 툴은 단독 제작뿐 아니라, 기존 사용자들이 만든 앱을 ‘리믹스’해서 확장하거나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Opal이 제공하는 갤러리에서는 다양한 앱 예제를 불러와 자유롭게 변형해볼 수 있다.
또한 앱의 실행 흐름을 시각화한 ‘워크플로우 편집기’를 제공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사용자는 입력 → 처리 → 출력 과정을 하나의 시각적 플로우로 확인할 수 있고, 각 단계에 설정된 프롬프트를 직접 클릭해 수정할 수 있다. 단순히 자동 생성에 의존하지 않고, 툴바에서 직접 단계(step)를 추가해 세밀한 제어도 가능하다. 완전한 노코드 방식이지만, 원하는 대로 앱의 동작을 조율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다.
완성된 앱은 웹에 바로 퍼블리시(공개 배포)할 수 있으며, Google 계정이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해당 링크를 통해 앱을 테스트해볼 수 있다. 이처럼 Opal은 기획자나 디자이너, 일반 사용자 등 비개발자도 웹앱을 손쉽게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코딩 없이 앱을 만드는 시대의 상징
Opal은 단순한 실험용 도구가 아니다. ‘코딩을 모르는 사람이 앱을 만드는 세상’—바로 그 흐름의 상징처럼 등장한 생성형 앱 제작 툴이다. 이제는 개발자만이 무언가를 만들던 시대가 지나고, 누구나 상상력과 아이디어만으로 소프트웨어를 구현할 수 있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런 흐름은 최근 ‘바이브 코딩(Vibe-Cod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바이브 코딩이란, 내가 만들고 싶은 ‘느낌’이나 목적을 글로 설명하면, AI가 이를 읽고 필요한 기능을 해석해 직접 구현해주는 방식이다. 기술적인 명령어 대신 감성적 언어나 일상적 표현이 코딩을 대체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방식은 단순히 기능 중심의 개발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경험’을 중심으로 앱을 만드는 감성 중심의 창작 흐름을 만든다. 앱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건 복잡한 알고리즘보다도,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에 대한 상상력이다.
현재 Cursor, Lovable, Replit, Canva, Figma 등 주요 생성형 플랫폼들이 이 흐름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그만큼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그리고 구글의 Opal은 이 경쟁의 한가운데에서, 비개발자를 위한 새로운 창작 플랫폼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 ‘코딩 없이 만드는 앱’은 실험이 아니라 현실이 되고 있다. Opal은 그 미래를 미리 보여주는 창이다.
프롬프트 기반 + 워크플로우 구조의 융합
Opal의 핵심 차별점은 AI 프롬프트 기반 생성과 시각적 워크플로우를 결합한 점이다.
즉, 코딩 없이도 AI 파이프라인을 시각적으로 ‘디버깅’하고 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생성형 UI/UX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생성형 개발 툴 경쟁 심화
생성형 개발 툴 시장은 지금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코드 한 줄 없이도 앱이나 서비스의 초기 프로토타입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현실이 되면서, 주요 빅테크와 스타트업들이 생성형 개발 도구(Generative Dev Tools)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현재 가장 주목받는 주요 경쟁자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Cursor는 GPT를 기반으로 한 코드 편집기 플랫폼으로, 실시간 자동 완성과 AI 리팩토링 기능을 통해 개발자들이 빠르게 코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Lovable은 모바일 앱을 텍스트로 설계할 수 있는 툴로, 특히 비개발자나 스타트업 초기 팀을 대상으로 한 투자 수요와 인수 러브콜이 집중되고 있는 신흥 강자다.
Figma는 디자인툴 영역에서 AI와 결합해 인터페이스 설계를 자동화하는 실험을 진행 중이며, 디자이너와 기획자를 중심으로 시장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Replit은 기존 개발자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생성형 코딩 기능을 제공하며, 특히 교육용 플랫폼이나 입문자 대상 시장에서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Canva는 웹 기반의 디자인 도구에서 출발했지만, 지금은 버튼 하나로 페이지, 사이트, 앱까지 구성할 수 있는 AI 기반 UX 자동화 기능을 강화하며 확장 중이다.
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구글의 Opal은 명확한 차별점을 가진다. 바로 Google Workspace 생태계(Gmail, Drive, Sheets 등)와의 연동 가능성이다. 구글 계정 하나로 로그인하고, 기존 문서나 자료와 연결하여 바로 앱을 만들거나 공유할 수 있는 접근성은 여타 서비스들이 쉽게 따라올 수 없는 강점이다.
즉, Opal은 단순한 앱 제작 도구를 넘어 구글 생산성 도구들과 결합된 AI 기반 창작 플랫폼으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을 이미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Opal은 생성형 개발 툴 시장에서 후발 주자이지만 단숨에 중심으로 부상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