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 제조, 의료
[창의적 인터랙티브 플랫폼] 소셜 네트워크, 영화 및 TV
[블록체인] 스마트 시티, 금융
다음은 Deloitte Insights에서 발행한 2022 No. 23 '기회의 땅 메타버스로의 초대'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해당 보고서는 Deloitte Insights(https://www2.deloitte.com/)에서 자료를 다운받아 확인할 수 있다. |
[시뮬레이션] 인터랙티브 게임, 상거래, 교육, 문화
사용자들은 가상 내비게이션을 통해 매장을 돌아다니며 제품을 걸쳐보고 계산대를 이용할 수 있다. 온라인과 물리적 쇼핑의 이 같은 융합은 매우 경쟁력 있는 새로운 쇼핑 모델이 되고 있다.
· 교육 및 훈련: 사용자들은 머리 착용 VR/AR 디스플레이 장비를 통해 가상 교육 공간으로 들어가, 훨씬 흥미롭고 지능적이고 인터랙티브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TRIVR의 직원 교육용 제품은 참여율을 높이고 훈련 단계와 기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문화: 인터랙티브 시뮬레이션 기술을 사용해 고대 건축물의 문화 유산을 디지털화하면,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더욱 효과적이고 생생하게 문화 유산을 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 자금성 AR 문화관광 전시(Forbidden City AR Cultural Tourism Exhibition)는 안면 및 동
작 인식 기술을 체감 상호작용 기술과 융합해, 전시회 주최측이 역사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유적의 장기적 보전, 복구, 홍보, 지속에 필수적인 정보를 자유롭고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 제조, 의료
· 제조: 디지털 트윈은 제품 설계, 공정 최적화, 품질 관리, 공급망 관리, 예지보전 관리, 고객 경험 분석 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지멘스(Siemens)는 자동차 제조 과정에서 디지털 트윈을 활용해 각 개발 단계를 시뮬레이션 및 검증함으로써 실제 생산 단계에서의 실패 가능성을 줄인다.
· 의료: 의약품 임상 실험, 치료, 수술 리허설 등에 디지털트윈을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AI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환자의 예측적 디지털 모델을 설계해, 환자의 일생에 걸쳐 예측적 건강기록 분석과 의사결정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창의적 인터랙티브 플랫폼] 소셜 네트워크, 영화 및 TV
· 소셜 네트워크: 메타버스에서 콘텐츠 창작자들은 가상세계를 만들어 콘텐츠와 상호작용을 창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라이즌 월드(Horizon Worlds)에서 사용자들은 창작자로서 가상 공간에 들어가 진정한 협업과 경험공유를 하고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창작물과 진화하는 가상세계를 탐구할 수 있다.
· 영화 및 TV: 창의적 인터랙티브 플랫폼은 영화와 TV, 버라이어티 쇼, 단편 영화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텐센트 비디오(Tencent Video)는 독창적 창작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인터랙티브 창작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스마트 시티, 금융
· 스마트 시티: 한 도시의 정보, 에너지, 교통, 기타 인프라가 블록체인에 결합돼 높은 가치를 지닌 데이터를 십분 활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산이 지난 2019년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고 세종시는 AI 기반의 행정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시티구축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 금융: 블록체인 기술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연결해 더욱 효율적이고 더욱 낮은 비용의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메타버스에서는 경제 활동이 가상 제품의 거래를 지원하기 때문에 더욱 발전된 형태의 결제 수단을 활용한다.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순수 디지털 화폐를 만들어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결국 각종 기술은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에 힘을 실어주고, 생산성을 강화하며, 통찰력을 끌어올리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사업을 업그레이드하는 방향으로 융합될 것이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