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X = X]
[목차]
- MWC 2025의 핵심 메시지
- 첨단 기술이 바꾸는 통신 산업
- AI Factory와 소버린 AI
- 산업별 혁신 사례
- 미래 전망과 준비 과제
다음은 신동형님이 작성한 'MWC 2025 - 가기 전에 봐야 할 Preview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GSMA가 진행한 MWC 2025 Preview
Executive Summary
MWC 2025는 통신 산업의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알리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700개 이상 기업이 참가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AI가 주도하는 새로운 혁신 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됩니다.
첫째, 통신사들의 AI 도입이 실험 단계를 넘어 실질적인 가치 창출 단계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현재 74%의 통신사가 생성형 AI 솔루션을 도입했거나 시험 중이며, 32%가 다수 비즈니스 영역에서 광범위한 도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KPN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AI 에이전트 도입을 통해 케이스 처리 자동화율 55%, 고객만족도 71% 향상 과 같은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둘째, 네트워크 API 경제가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67개 통신사가 참 여하는 GSMA Open Gateway 이니셔티브는 전 세계 모바일 연결의 75%를 커버하며, 금융, 제조, 미디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셋째, AI Factory가 통신사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NVIDIA는 2024년 Sovereign AI 관련 매출이 1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미 14개 주 요 통신사가 AI Factory 구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넷째, 5G 네트워크의 본격적인 확산이 예상됩니다. 현재 57개 통신사가 5G SA를 구축 했으며, 88개 통신사가 추가로 도입을 계획하고 있어 총 145개 통신사가 5G SA 서비 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동시에 2025-2030년 사이 42개의 2G 네트워크와 58개의 3G 네트워크가 종료될 예정이어서 통신 인프라의 근본적인 변화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통신사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전 환을 위해서는 직원 교육과 역량 강화(63%), 네트워크 용량 확충(62%), 산업용 사설 네트워크 구축(51%) 등의 투자가 필요하며, 사이버보안(49%)과 데이터 프라이버시(41%)와 같은 도전과제도 해결해야 합니다.
2025년은 통신 산업이 단순한 연결성 제공자에서 벗어나 AI 기반의 종합 디지털 서 비스 제공자로 진화하는 결정적 시점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끄 는 통신사들이 향후 디지털 경제의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MWC 2025의 핵심 메시지
MWC 2025: AI 주도 혁신의 시대
MWC 2025는 통신 산업이 AI 중심으로 재편되는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GSMA의 CMO 라라 지라는 이번 행사가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실질적인 비즈니스 거래의 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2,7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하며, AI 관련 세션이 전체 프로그램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등 AI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통신사들의 AI 도입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잠재적 활용사례 발굴 및 파일럿 진행: 41%
일부 비즈니스 영역에 제한적 도입: 18%
다수 비즈니스 영역에 광범위 도입: 32%
전사적 AI 통합 완료: 11%
이러한 수치는 AI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임을 보여줍니다.
통신사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통신 산업은 매출 성장과 수익성 사이의 근본적인 딜레마에 직면해 있습니다. 2019년부터 2025년까지 5G 관련 투자액은 약 1.3조 달러로, 전체 CAPEX의 7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수익성 확대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사들은 세 가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① AI 기반 운영 효율화
-KPN 사례: 케이스 처리 자동화율 55%, 고객만족도 71% 향상, 상담 처리 시간 20% 단축
② 네트워크 API를 통한 신규 수익원 창출
-GSMA Open Gateway: 67개 통신사가 참여하여 전 세계 모바일 연결의 75%를 차지
-유럽 금융 서비스 기업 리디아: 네트워크 API 활용 '조용한 인증' 도입으로 인증 시간 50% 단축
③ AI Factory 구축을 통한 신사업 창출
-NVIDIA: 2024년 Sovereign AI 관련 매출 100억 달러 예상
-Fastweb, Indosat, KDDI, SoftBank 등 14개 통신사가 AI Factory 구축 발표
주요 기술 트렌드
MWC 2025의 핵심 기술 트렌드는 **'지능형 연결성'**입니다. 이는 단순한 네트워크 연결을 넘어 AI가 사용자 환경을 예측하고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
① 5G Standalone(SA) 확산
-현재 57개 통신사가 구축 완료, 88개 통신사가 추가 도입 계획 중
-63개국에서 총 145개 통신사가 5G SA 서비스를 제공할 전망
② 2G/3G 네트워크 종료 가속화
-2025~2030년 사이 42개 2G, 58개 3G 네트워크가 종료 예정
-주파수 재할당 및 에너지 효율화 촉진
2. 첨단 기술이 바꾸는 통신 산업
AI 에이전트와 네트워크 자동화
통신사들의 AI 에이전트 도입은 운영 효율성과 고객 경험 두 가지 측면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Capgemini 의 조사에 따르면 2026 년까지 AI 기반 고객 상호작용의 40% 이상이 완전 자동화될 전망이며, 기업의 64%가 반복적인 업무에서 직원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자율 에이전트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네덜란드의 KPN 사례는 AI 에이전트가 가져올 변화를 잘 보여줍니다. KPN 은 'Connect, Activate & Grow' 전략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① 케이스 처리 자동화율 55% 달성
② 고객만족도 71% 향상
③ 상담 처리 시간 20% 단축
④ 90% 이상의 케이스가 첫 접촉에서 해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Customer 360 뷰 시스템의 도입입니다. 이 시스템은 고객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상담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AI 기반 추천 시스템과 결합되어 더 나은 고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지능형 기기의 진화
지능형 기기 시장은 중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글로벌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OPPO, Xiaomi, Honor, vivo 등이 AI 를 핵심 차별화 요소로 삼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능을 탑재한 중저가 스마트폰의 등장이 주목됩니다. 전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의 80%가 1,000 달러 이하 제품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중국 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혁신을 이루어내고 있습니다.
표1 AI 스마트폰의 진화 방향
3. AI Factory와 소버린 AI
AI Factory는 단순한 데이터센터를 넘어 국가 AI 주권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NVIDIA의 젠슨 황 CEO는 "모든 국가는 Sovereign AI가 필요하며, 자국의 intelligence 생산을 소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AI Factory 구축의 핵심 요소
① GPU 클러스터 시스템
-NVIDIA HGX B200 시스템: 8개 GPU NVLink 연결
-GB200 NVL72 시스템: 72개 GPU 단일 NVLink 도메인 통합
② 수랭식 냉각 시스템
-Direct-to-Chip 냉각 기술로 운영 비용 40% 절감, 투자 비용 1년 이내 회수
③ 네트워크 최적화
-400G NDR 속도 지원 InfiniBand 패브릭
-AI-RAN 구조와 통합하여 초고속 데이터 전송 지원
국가 AI 경쟁력의 핵심 기반
현재 14 개의 주요 통신사(Fastweb, Indosat, KDDI, SoftBank 등)가 AI Factory 구축을 진행 중입니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유럽 지역에서 활발한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통신사들의 AI Factory 수익 모델은 세 가지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① AI 연결성 제공자
-Verizon: NVIDIA 와 협력하여 사설 5G 네트워크와 엣지 컴퓨팅 인프라 제공
-Lumen: 데이터센터 간 광통신망을 통한 AI 워크로드 지원
② AI 컴퓨팅 제공자
-Fastweb: NeXXt AI Factory 를 통한 NVIDIA AI 슈퍼컴퓨터 IaaS 제공
-SoftBank: RAN 실리콘을 활용한 비 RAN AI 워크로드 처리
③ AI 솔루션 파트너
-Orange: 아프리카 지역 언어 지원을 위한 AI 모델 개발
-KDDI: 지역 기업 대상 생성형 AI 도입 컨설팅 서비스 제공
새로운 수익 모델의 등장
GSMA Intelligence 의 조사에 따르면, 통신사들의 AI Factory 도입은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B2B 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혁신적인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① GPU-as-a-Service
-B2B 고객 대상 AI 워크로드 처리용 컴퓨팅 자원 제공
-국가별 데이터 주권 요구사항 충족
-엣지 컴퓨팅과 연계한 저지연 서비스
② AI Factory 서비스:
-네트워크 역량과 AI 플랫폼을 결합한 종합 서비스
-비영어권 시장을 위한 LLM 학습용 언어 데이터 제공
-산업별 특화 AI 모델 개발 지원
4. 산업별 혁신 사례
① 제조업: 디지털 전환
제조업 분야에서는 5G 와 AI 의 결합이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창안자동차의 위베이 5G 그린 스마트 팩토리 사례를 보면, 중국 유니콤, 광동 그리와 화웨이의 협력으로 다음과 같은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창안자동차의 5G 스마트 팩토리 구축 (중국 유니콤, 광동 그리, 화웨이 협력)
-실시간 장비 모니터링, 스마트 물류 관리, 품질 관리 자동화 구현
② 금융 서비스: 네트워크 API 활용
금융 서비스 산업은 네트워크 API 활용의 선도적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유럽의 모바일 금융 서비스 기업 리디아는 네트워크 API 를 통해 다음과 같은 혁신을 달성했습니다:
-유럽 금융 기업 리디아: '조용한 인증' 도입으로 인증 시간 50% 단축
-두바이 'du Pay' 프로젝트: 현금 없는 사회 비전 실현
두바이의 2031 현금 없는 사회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du Pay' 프로젝트, bKash 와 화웨이의 디지털 대출 솔루션 등은 금융 포용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③ 스마트 모빌리티: 5G와 AI 결합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5G 와 AI 의 결합이 새로운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Swisscom Broadcast 의 Philip Header 가 소개한 '드론 네트워크' 사례는 모빌리티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합니다. 이는 단순한 드론 운영을 넘어 'Drone as a Service' 개념을 구현한 것으로, 지상-공중 통합 네트워크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Swisscom의 'Drone as a Service' 개념 도입
-도이치텔레콤: '품질 보장형(Quality on Demand)' API 활용해 실시간 방송 안정성 보장
5. 미래 전망과 준비 과제
2030년 통신 산업의 미래
향후 2030년까지 통신 산업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① 네트워크 구조 변화
-5G SA 네트워크 본격화
-2G/3G 네트워크 종료 및 주파수 재할당
② AI 기반 서비스 확대
-2026년까지 AI 기반 고객 상호작용 40% 자동화
-네트워크 API 경제 활성화 및 AI Factory 확산
③ 산업 간 융합 가속화
-통신-금융 융합 서비스 확대
-제조업 및 모빌리티 산업과의 협업 강화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
통신 산업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① 기술 인프라 최적화
직원 교육 및 역량 강화 (63%)
네트워크 용량 확충 (62%)
산업용 사설 네트워크 구축 (51%)
② 보안 및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
사이버보안 (49%)
데이터 프라이버시 (41%)
IT 인프라 개선 (38%)
통신사의 대응 전략
통신사들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세 가지 방향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① 네트워크 현대화 전략
도메인별 단계적 자동화 추진
레거시 네트워크의 체계적 정리
API 기반 개방형 구조로의 전환
② 신규 수익원 확보
AI 서비스의 체계적 도입
위성통신과의 효과적 통합
프리미엄 보안 서비스 개발
③ 운영 효율화
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에너지 효율성 개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 구축
결론
2025년은 통신 산업이 AI 중심으로 새로운 도약을 시작하는 원년이 될 것입니다. AI Factory, 네트워크 API 경제의 성장, 지능형 기기의 진화는 통신사들에게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기술 역량 강화 뿐만 아니라 조직 문화 혁신과 명확한 전략 수립이 필수적입니다. 성공적인 전환을 이루는 통신사들이 향후 디지털 경제의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