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주간 최신 기사들을 바탕으로 생성형 AI와 XR 기술, 법/규제와 에너지 문제, 딥러닝 선구자들의 노벨상 수상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는 생성형 AI와 XR 기술
Black Forest Labs의 ‘Flux 1.1 Pro’ 가 Midjourney 6.1 및 Ideogram v2를 능가하며 텍스트-이미지 생성 능력 평가 벤치마크에서 최고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Pika는 초현실적인 영상 생성에 특화된 ‘Pika 1.5’를 출시했습니다. Pika 1.5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장면에서도 주제나 객체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특수 효과를 적용, 밈 동영상 제작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Google은 AI 노트북 서비스 ‘NotebookLM’에 팟캐스트 생성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팟캐스트의 형식, 길이, 페르소나, 음성, 언어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YouTube 비디오와 오디오 파일도 입력 소스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OpenAI가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에 음성 명령 및 응답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eal-time API’를 공개했습니다. Real-time API는 GPT-4o에 오디오를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게 해주어 음성 명령 처리를 위한 여러 단계를 단순화하고 모델 지연 시간을 줄여, 사용자 지시에 빠르게 응답하는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Meta는 강력한 동영상 생성 AI ‘Movie Gen’을 공개했습니다. Movie Gen은 최대 16FPS로 16초짜리의 사실적이고 개인화된 HD 비디오와 48kHz 오디오를 제작할 수 있으며, 비디오 편집 기능도 제공합니다.
Meta는 차세대 AR 안경 ‘Orion’ (오라이온)을 2년 안에 출시할 계획입니다. Orion은 넓은 시야각, 가벼운 무게, AI 기능을 갖춘 혁신적인 제품으로, 스마트폰이나 PC를 대체할 새로운 컴퓨팅 기기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Orion은 1만 달러에 달하는 높은 가격이 걸림돌이지만, Meta는 실리콘 카바이드 렌즈 대량 생산 기술 개발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 2년 안에 소비자용 제품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AI 기술의 법적 규제와 에너지 문제
The Verge에 따르면, Mark Zuckerberg (마크 저커버그) Meta CEO는 콘텐츠 제공자가 비용을 요구할 경우 AI 학습에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캘리포니아주는 AI 모델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는 법안 (AB 2013)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안은 AI 기업들의 투명성을 높이고 저작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지만, AI 기업들의 반발도 예상됩니다.
The Guardian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는 Google의 검색 독점을 막기 위해 검색 데이터를 AI 학습에 활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Safer AI는 AI 기업들의 안전 관리 등급을 발표하며, AI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Broomber에 따르면, Jensen Huang (젠슨 황) Nvidia (엔비디아) CEO는 원자력 발전이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의 최선책이라고 주장하며, 에너지 가용성, 비용,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원자력 발전을 지지했습니다.
딥러닝 선구자들의 노벨상 수상
딥러닝 분야의 선구자인 Geoffrey Hinton (제프리 힌튼) 교수와 John Hopfield (존 홉필드) 교수가 202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두 교수는 딥러닝 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AI 기술의 미래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표명했습니다.
Demis Hassabis (데미스 허사비스) Google DeepMind (구글 딥마인드) CEO도 단백질 구조 예측 AI ‘AlphaFold’ (알파폴드) 개발 공로로 202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는 AI 기술의 혁신성과 과학 분야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시사점
AI와 XR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며 산업과 일상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저작권, 데이터 투명성, 환경 문제 등 새로운 윤리적, 법적 과제들이 대두되고 있어 적절한 규제와 가이드라인 수립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AI 선구자들의 노벨상 수상으로 AI 연구의 과학적 공헌이 인정받고 있어, 앞으로 AI가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