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모바일 쇼핑은 13조6,707억원 기록
중·대형 캐릭터 라이선스 보유 기업의 직접 유통 확산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들의 직접 제작해 유통 확산
다음은 문화체육관광부가 2022년 12월 5일 발간한 '2022 여가백서' 내용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2022 여가백서' 보고서는 문화체육관광부(http://www.mcst.go.kr)에서 자료 를 다운받아 확인할 수 있다. |
가. 캐릭터 상품 온라인 유통시장 활발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문화의 확산과 온라인 기반으로 급변한 국내 주요 유통구조는 2021년에도 확산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12월 및 연간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2021년 12월 인터넷 쇼핑 거래액은 18조 4,052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약 15.8% 증가했고 온라인 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 쇼핑은 22.9% 증가한 13조6,075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중·대형 캐릭터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저작사에서 직접 캐릭터 상품을 만들고 온라인과 모바일에서 유통이 활발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캐릭터 상품 제작 및 유통에 관심이 있는 인플루언서들과 크리에이터들을 모집하여 캐릭터 상품을 제작하고 온라인 및 모바일 환경에서 유통하는 전문 플랫폼의 유통 진행이 활발하게 확산되었다.
1) 중·대형 캐릭터 라이선스 보유 기업의 캐릭터 상품 온라인·모바일 직접 유통 확산
2021년 캐릭터 상품 유통시장에는 중·대형 캐릭터 라이선스 보유 기업인 저작사들의 캐릭터 상품 온라인·모바일 직접 유통이 확산되었다. 캐릭터 라이선스를 보유한 애니메이션 콘텐츠 기업들의 캐릭터 상품 직접 유통 현상은 업계 현장에서 확대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장기화 환경으로 인해 온라인 유통시장은 커지고 있고, 오프라인 유통시장은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전국에 있는 대형마트에 새로운 캐릭터 신제품들이 우선 출시되어 유통되었으나 코로나19 이후에는 최소한의 캐릭터 상품들만 판매하는 유통 현상을 대형마트에 방문하면 눈에 띄게 발견할 수 있고, 온라인에서 캐릭터 상품 구매관련 검색을 하면 유통 중인 캐릭터 상품이 많아지고 다양해진 현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산업 현장에서의 변화 사례로 2021년 상반기 중에 <로보카폴리>라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로이비쥬얼이 캐릭터 상품의 직접 온라인 유통 사업에 진출하면서 기존의 캐릭터 상품 유통 파트너사인 아카데미과학은 오프라인 유통 사업으로만 집중되는 유통 개편이 일어나게 되었고, 로이비쥬얼은 수익성 개선을 위해 남자 어린이 주력 시장인 로보카폴리 캐릭터 외에 여자 어린이를 주력으로 하는 신규 캐릭터 개발에 집중하게 되었다.
‘아기상어’로 유명한 핑크퐁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더핑크퐁컴퍼니 역시 450억 원 펀드를 조성하고 신규 캐릭터 개발을 추진하게 되면서, 업계 전반적으로 수익성 개선을 위한 신규 캐릭터 개발 및 신규 캐릭터 상품화 사업 추진이 활발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캐릭터 애니메이션 개발사인 캐릭터 라이선스 보유사의 온라인·모바일 직접 유통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캐릭터 상품의 온라인·모바일 직접 유통이 확산되었던 주요 중·대형 캐릭터 라이선스 저작사는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상품을 주력으로 유통하는 카카오의 카카오 프렌즈샵, ‘라인프렌즈’ 캐릭터 상품을 주력으로 유통하는 라인프렌즈의 온라인 브랜드 스토어, ‘뽀로로’ 캐릭터 상품을 주력으로 유통하는 아이코닉스의 뽀로로몰, ‘EBS 펭수’ 캐릭터 상품을 주력으로 유통하는 자이언트펭 TV의 펭수몰, ‘핑크퐁’ 캐릭터 상품을 주력으로 유통하는 더핑크퐁컴퍼니의 핑크퐁 스토어, ‘캐치 티니핑’, ‘미니특공대’ 캐릭터 상품을 주력으로 유통하는 에스에이엠지(SAMG)엔터테인먼트의 에스에이엠지(SAMG) 숍, ‘로보카폴리’ 캐릭터 상품을 주력으로 유통하는 로이비쥬얼의 로보카폴리 공식스토어, ‘포켓몬스터’ 캐릭터 상품을 주력으로 유통하는 포켓몬코리아의 공식 스토어 등이 캐릭터 상품 온라인·모바일 직접 유통이 확산되었던 주요 중·대형 캐릭터 라이선스 저작사와 공식 온라인·모바일 몰이다.
2)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들의 캐릭터 상품 직접 제작과 유통 플랫폼의 확산
2021년 캐릭터 상품 유통시장에서는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들의 캐릭터 상품 직접 제작과 온라인·모바일 유통 플랫폼이 확산되었다.
다중 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MCN) 플랫폼 환경 내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 및 크리에이터들은 MCN 플랫폼 내에 디지털 콘텐츠로 모집된 팬들에게 홍보된 자신만의 지식재산권으로 보유한 캐릭터를 활용하여 상품화한 캐릭터 굿즈를 직접 출시하고 판매하는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업계의 마켓 환경 변화와 전 세계 MZ세대의 디지털 콘텐츠 사용 환경의 급변동하는 트렌드가 반영되었고 대한민국의 최상급 ICT 환경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 경쟁력 강화 현상이 반영된 결과이다.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들의 캐릭터 상품 온라인·모바일 직접 유통이 확산되었던 주요 운영사와 플랫폼은 종합 MCN 기업 씨제이이엔엠(CJ ENM) 다이아 티비의 다이아마켓 상품 플랫폼, 종합 MCN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의 상품 플랫폼 머치머치(현 메메즈),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마플코퍼레이션의 상품 플랫폼 마플,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핸드허그의 상품 플랫폼 젤리크루,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브로스코의 상품 플랫폼 일루와마켓,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이너부스의 상품 플랫폼 이너팩토리,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픽셀네트워크의 상품 플랫폼 픽셀스토어,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하이브의 상품 플랫폼 위버스샵,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에스엠(SM)엔터테인먼트의 상품 플랫폼 에스엠타운앤드스토어,42)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와이지(YG)엔터테인먼트의 상품 플랫폼 와이지셀렉트43) 등이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들의 캐릭터 상품 직접 제작과 유통 플랫폼 온라인·모바일 직접 유통이 확산되었던 주요 플랫폼 운영사의 공식 온라인·모바일 몰이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