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UNESCO) 산하 IAA 국제조형예술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rt, 세계회장 이광수)는 지난 10월 30일(목)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서울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에서 ‘2025 IAA-AIAP 집행위원(Executive Committee, EC) 서울총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024년 서울총회에 이은 두 번째 국제 집행위원 회의로, IAA KOREA(한국위원회)가 주관했다.
이번 총회에는 프랑스, 독일, 폴란드, 미국, 코스타리카 등 유럽·북미·라틴권 주요 회원국 대표들이 직접 참석했으며, 영국·스웨덴·세르비아·라트비아·멕시코 등은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또한, 아프리카·아랍권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회원국들은 위임 참여를 통해 글로벌 협력의 폭을 넓혔다.
IAA 회원국 75개국으로 확대, 한국의 복수 등록
금년에는 모로코(아랍권)와 파라과이(라틴권)가 새롭게 가입하고, 한국의 IAA KOREA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표로 복수 등록을 완료함에 따라, 전 세계 IAA 회원국은 기존 72개국에서 75개국으로 확대되었다.
IAA는 회화, 조각, 판화 등 모든 조형예술 분야를 포괄하는 세계 유일의 국제 미술 단체로, 르네 마그리트·호안 미로 등 수많은 거장들이 회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스포츠 분야에 IOC(국제올림픽위원회)가 있다면, 예술 분야에는 IAA가 있다.”는 말처럼, IAA는 인류 예술 교류의 중심축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광수 IAA 세계회장, “예술올림픽의 부활로 인류 문화의 연대 실현”
이광수 세계회장은 2023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57개국 총회에서 IAA 70년 역사상 최초의 한국인 세계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취임사에서 ‘예술올림픽의 부활’을 공약하였으며, 그 비전이 바로 ‘아트피아드(Artpiad)’라는 이름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예술올림픽은 근대올림픽 창시자 쿠베르탱의 제안으로 1912년 스톡홀름올림픽에서 시작되어 1948년 런던올림픽까지 7회 개최되었으나, 1952년 헬싱키 대회를 끝으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IAA와 아시아아트피아드위원회(AAC)가 협력하여, 2025년부터 ‘아트피아드(Artpiad)’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 중이다.
아트피아드, 예술을 통한 ‘인류 통합의 플랫폼’으로
서울총회에서는 아트피아드 추진 현황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회의에서는 ▲예술올림픽의 새 명칭 ‘아트피아드(Artpiad)’의 의미 ▲세계미술인의 날 행사 추진 ▲AAC–IAA 협력 체계 ▲재원 조성 및 공정성 확보 ▲국가·대륙·세계대회 운영 방안 ▲참가국 및 작가 지원정책 ▲콘텐츠 유통 전략 등이 논의되었다.
IAA와 AAC가 공동으로 주도하는 아트피아드는 예술인뿐 아니라 일반 대중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을 지향하며, 예술의 대중화와 접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다. 이를 통해 세계 시민 누구나 예술을 통해 교류하고, 창작자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예술 생태계의 순환 구조’를 실현할 예정이다.
김종욱 IAA 기획위원장 “IAA는 세계예술의 공적 플랫폼 되어야”
IAA 기획위원장이자 KBS아트비전 대표인 김종욱 위원장은 이번 총회에서 “예술은 국경을 초월한 인류의 공통 언어이며, IAA는 그 언어를 세계와 공유하는 공적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유네스코의 정신인 문화 다양성, 평등, 인류 공동 번영을 예술로 구현하는 것이 IAA의 존재 이유”라며, “특히 ‘아트피아드’는 예술의 전문성과 대중성을 결합하여, 차세대 예술 생태계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인류문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또한 “서울총회를 계기로 IAA가 AI, 디지털 아트, 미디어아트 등 첨단 예술 융복합의 국제 협력 허브로 거듭나야 한다”며, “예술이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끄는 공적 자산으로 발전하도록 적극적인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IAA와 AAC는 2026년을 목표로 ‘제1회 아트피아드 세계대회’ 개최를 추진 중이며, 서울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도시가 개최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예술축제를 넘어, 국제문화 교류·창의산업 발전·AI예술 혁신·글로벌 평화 증진을 아우르는 인류문화 비전 프로젝트로서 평가받고 있다.
IAA의 공적 활동은 예술을 통한 인류 화합과 문화 다양성 존중이라는 유네스코의 핵심 가치 실현의 장이자,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예술 환경 조성의 세계적 모델로 확산되고 있다.
[저작권자ⓒ META-X.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